오경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888

한자 : 五經
영어 : Five Classics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사서 오경 [ 四書五經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춘추 () [ 春秋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예기 () [ 禮記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주역 () [ 周易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서경 () [ 書經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시경 () [ 詩經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교 () [ 儒敎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공자 () [ 孔子 ]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 구약성서의 오경(五經)은 신권정치의 관변 경전인가?

Is the Pentateuch of the Old Testament the Government Scripture of the Theocracy under the Persian Empire?

종교연구 | 68 | 2012 | 종교학

안축의 대책문과 이민족 대책

An Chuk's Answer at the Yuan Imperial Examination, and His suggestions for a Policy directive concerning the ‘Foreign tribes'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제국적 통합과 집권화의 이념 ― 유종원柳宗元 (773-819) 「봉건론」의 정치철학적 함의 ―

Imperial Integration and the Idea of Centralization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중경’의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Jungkyung”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토라와 오경 -토라의 구성에 대한 정경적 해석-

The Pentateuch as Torah: Understanding the Canonical Reality of “mosaic Pentateuch” for the codification of Torah as Jewish Law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5 | 1 | 2011 | 서양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