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에서 통각원칙의 분석성과 종합성: 순수이성비판에서 연역 해석의 문제(1)
Analyticity and Syntheticity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of Kant: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1)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Karma-yoni 개념의 상키야 철학적 적용과 유래
Application and Origin of Sāṃkhya Philosophy on the Concept of Karma-yoni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
상키야 철학에서 알라야식 유형의 원리
The Principle of an Ālayavijñāna Type in Sāṃkhya Philosophy
불교학연구 |
26 |
2010 |
불교학
상키야 철학에서 알라야식 유형의 원리
The Principle of an Ālayavijñāna Type in Sāṃkhya Philosophy
불교학연구 |
26 |
|
2010 |
불교학
몸 담론의 미학적 기초로서 감정이입 - 테오도르 립스의 감정이입 개념의 재활성화를 위하여
Einfühlung als eine ästhetische Grundlage der Leiblichkeitsdiskurse - Zur Reaktualisierung des Begriffs ‘Einfühlung’ von Theodor Lipps
독어독문학 |
53 |
2 |
2012 |
독일어와문학
헤르바르트의 심리학이론과 일반교수법
J. F. Herbart’s Theory of Psychology and General Method of Instruction
교육사상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헤르바르트의 심리학이론과 일반교수법
J. F. Herbart’s Theory of Psychology and General Method of Instruction
교육사상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사고 일반의 최종근거로서 통각의 종합적 통일
Die synthetische Einheit der Apperzeption als der letzte Grund des Denkens überhaupt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범주의 선험적 연역에서 상상력
Imagination in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범주의 선험적 연역에서 상상력
Imagination in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마음과 타자: 데카르트, 칸트, 헤겔의 사유 모델 비교
Mind und Anderes: Vergleich zwischen Denkmodellen der Philosophie von Descartes, Kant und Hegel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자기의식의 가능성 - 칸트와 헤겔을 중심으로
Über die Möglichkeit des Selbstbewüßtseins - In Bezug auf Kant und Hegel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자기의식의 가능성 - 칸트와 헤겔을 중심으로
Über die Möglichkeit des Selbstbewüßtseins - In Bezug auf Kant und Hegel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