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감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030

STNet ID : 1001115

한자 : 感覺
영어 : sensation
영어 : sense

c01-07 감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미각 [ 味覺 ]

hasKind (종류)

 

 

청각(듣기) [ 聽覺 ]

hasKind (종류)

 

 

후각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촉각 () [ 觸覺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색각 [ 色覺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c01-07 감각 / C02 심리 심리

아동 복지감 [ 兒童福祉感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시각 [ 視覺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평형 감각 [ 平衡 感覺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공감각 [ 共感覺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오감 [ 五感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1-07 감각 감각

통각 [ 統覺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x03-06-04 반응/대응 반응/대응

암시 () [ 暗示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체험 마케팅 [ 體驗-- ]

isCausedBy (원인)

 

x03-06-04 반응/대응 반응/대응

감성 반응 [ 感性 反應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백지설 [ 白紙說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감각 형용사 () [ 感覺形容詞 ]

RT (관련어)

 

a01-08 신체 신체

감각 조직 [ 感覺組織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관능성 [ 官能性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감각의 논리 () [ 感覺--論理 ]

RT (관련어)

 

 

감각 자료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의식적 [ 意識的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감각 심리 [ 感覺心理 ]

RT (관련어)

 

a01-08 신체 신체
a01-08 신체 / C02 심리 심리

감지 [ 感知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정신 측정 검사 [ 精神測定檢査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지각 () [ 知覺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환영 [ 幻影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모달리티 () [modality]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5 신체운동/행동 신체운동/행동

감각 통합 [ 感覺統合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詩) () [ 詩 ]

소설이 ‘가벼움’을 획득하는 두 가지 방식 - 조세희와 윤대녕의 문체를 중심으로-

Two Distinctive Ways to Obtain 'Lightness' in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the Styles of Writing in the Works of Jo Se'hui and Yoon Dae'nyeong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문학적 유토피아와 철학적 상상력

Literary Utopia and Philosophical Imagination

비교문학 | 55 | 2011 | 인문학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감각(感覺)과 정조(情調)론을 중심으로 -

Modern Poetry and Tradition Interpreted thru 「Poetics of So-wol Kim」 by Jung-joo Suh :Focused on sensibility and lyric rhyme theory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수』 - 냄새나는 인간학

『Das Parfum』 oder eine olfaktorische Anthropologie

독일언어문학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향수』 - 냄새나는 인간학

『Das Parfum』 oder eine olfaktorische Anthropologie

독일언어문학 |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데까르뜨의 도덕론에서 고통과 배고픔의 문제 - 정신의 형이상학에서 인간의 도덕학으로

The Problem of Pain and Hunger in Descartes's Moral Theory - From Metaphysics of Mind to Moral Philosophy of Human beings.

철학탐구 | 31 | 2012 | 철학

서로 마주한 삶을 위한 ‘생존으로서의 민주주의

The Democracy of Survival for Confronting Each Other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서로 마주한 삶을 위한 ‘생존으로서의 민주주의

The Democracy of Survival for Confronting Each Other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샤를 푸리에(Charles Fourier)의 정념 - 조화 혹은 사회성을 향한 욕망

Les passions de Charles Fourier - le désir vers l'harmonie ou la socialité

석당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1930년대 문학과 ‘감각’의 문제 - 김기림과 임화의 시론을 중심으로

‘Sensation’ and Literature in 1930s - Focusing on Poetics of Kim, Gi-rim and Im, Hwa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의각』 장면․재담․서술의 독서 효과 —1910년대 통속소설 독서경험 구성을 위한 한 사례로서

A study on the effects of scenes․jokes․narrations of 『Yeonuigak(燕의脚)』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유동 공간의 유기체적 지각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rganistic Perceptual in Fluid Spac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3 | 2011 | 디자인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2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u Yeong’s Poetry 2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보편, 혹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 : 이상, 조이스 그리고 지금 여기

The Universal, or the Event Still to Come : Yi Sang, Joyce and Now/here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이미지, 상상, 그리고 반응-배우의 상상력과 연기-

Image, Imagination and Reaction

한국연극학 | 1 | 46 | 2012 | 연극

17세기 프랑스 색깔·데생논쟁의 쟁점과 의의

Signification de la Querelle du coloris du XVIIe siècle en France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17세기 프랑스 색깔·데생논쟁의 쟁점과 의의

Signification de la Querelle du coloris du XVIIe siècle en France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한국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자연 표상의 양상과 의미-‘물’의 표상을 중심으로

Aspects and Meanings of Nature in Modern Korean Women's Poetry -focus on the Representation of ‘Water'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자연 표상의 양상과 의미-‘물’의 표상을 중심으로

Aspects and Meanings of Nature in Modern Korean Women's Poetry -focus on the Representation of ‘Water'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폴 엘뤼아르(P. Eluard)의 경계의 미학에 관한 연구

Etude sur l'esthétique de la limite chez Paul Eluard

프랑스어문교육 | 3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폴 엘뤼아르(P. Eluard)의 경계의 미학에 관한 연구

Etude sur l'esthétique de la limite chez Paul Eluard

프랑스어문교육 | | 3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정지용 시의 탈근대 정서 연구

A Study on the Post-Modern emotion in Jeong, Ji-yeong's poems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감각과 사회 : 시각 및 촉각을 중심으로

Senses and Society : On Visual and Haptic Sensation

영상문화 | 18 | 2011 | 학제간연구

김광균 시 연구― 이미지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Kim, Gwang-Gyun’s Poetry - Focusing on Formation of Images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김광균 시 연구― 이미지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Kim, Gwang-Gyun’s Poetry - Focusing on Formation of Images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김춘수 시를 통해 본 감각과 존재에 대한 성찰

Reflection on Sense and Existence with Kim Choon-Soo’s Poetry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유기적 통일과 시어의 신성성- 정지용의 시론과 시어관, 감각의 상관성

The organic unification in poems and divinity of poetical language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시의 양식과 감각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yle Choice and the Sense in the Early Modern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신애 소설의 몸과 감각

Body and Sense in Bak Shin Ae's Novel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랭보(Arthur Rimbaud) 수용의 초기 현황

La Réception et la traduction de Rimbaud de 1918 à 1953

프랑스어문교육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랭보(Arthur Rimbaud) 수용의 초기 현황

La Réception et la traduction de Rimbaud de 1918 à 1953

프랑스어문교육 |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무용인식에서 노자의 <惚恍>과 상징의 관계 연구 - 감각과 기억의 관계를 기초로 -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Lao-Tzu's Hu-huang (惚恍) and Symbols in Dance Perceptions -Based on Relations between Sense and Memory-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무용인식에서 노자의 <惚恍>과 상징의 관계 연구 - 감각과 기억의 관계를 기초로 -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Lao-Tzu's Hu-huang (惚恍) and Symbols in Dance Perceptions -Based on Relations between Sense and Memory-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김춘수 시의 언어의식 전개과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im, Choon-soo's language consciousness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Synaesthetic Metaphors in Thai: A Cognitive Linguistic Study

태국어의 공감각적 은유 연구

한국태국학회논총 | 16 | 2 | 2010 | 지역학

Synaesthetic Metaphors in Thai: A Cognitive Linguistic Study

태국어의 공감각적 은유 연구

한국태국학회논총 | 16 | 2 | 2010 | 지역학

처용가의 감각

Senses of Cheoyong-Ga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정지용 초기시에 나타난 근대의 ‘감성적(ästhetisch)’ 전유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sensible(ästhetisch) appropriation of modernity in Jung Ji-Yong's early poetry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초기시에 나타난 근대의 ‘감성적(ästhetisch)’ 전유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sensible(ästhetisch) appropriation of modernity in Jung Ji-Yong's early poetry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시의 ‘인지어’ 연구 1

A Study on the Cognitive Word in Kim, Soo Young’s Poetry 1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촉각 중심의 아동 화예 감각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ouch-oriented Floral Arts Sensor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3 | 2010 | 기타예술체육

촉각 중심의 아동 화예 감각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ouch-oriented Floral Arts Sensor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 23 | 2010 | 기타예술체육

보들레르의 ‘감각’과 신비적 ‘초감각’

La sensation et la super-sensation mystique chez Charles Baudelaire

영상문화 | 18 | 2011 | 학제간연구

2007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2011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 분석: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ith a Focus on Changes in Learning Topics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15 | 3 | 2011 | 교육학

추(醜)의 미학과 새로운 문학의 지형도 -감각과 상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Aesthetics of Ugliness and Configuration of New Literature -Focusing on the Matter of Sense and Imagination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초현실주의와 현대예술-미술, 모드, 박람회에 관하여-

Le Surréalisme et l’art Contemporain -À Travers la Peinture, la Mode, et L’exposition-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초현실주의와 현대예술-미술, 모드, 박람회에 관하여-

Le Surréalisme et l’art Contemporain -À Travers la Peinture, la Mode, et L’exposition-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1900~1920년대 감각 관련 개념의 사용 양상 연구- 김기진 비평에 나타난 ‘감각’ 개념에 대한 재인식과 관련하여

The Aspects of Concepts related to Sen않 in 1900-1920’s related with Concepts of Sense in Kim Ki-jin’s Criticism Ka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A Cognitive Analysis of the Meaning Extension of Sensual Nouns in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훼손된 기억의 구조와 복원 방식 - 정한숙, 『끊어진 다리』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Structure of damaged memory and its restoration method - focusing on the description method of Jeong Han Sook's 『Collapsed Bridge』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감각체험을 통한 전시디자인의 공간 연출 특성 분석 - 어류전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pace Production in Exhibition Design through Sensory Experience - Focus on the Fish Museum case -

한국디자인포럼 | 29 | 2010 | 디자인

감각체험을 통한 전시디자인의 공간 연출 특성 분석 - 어류전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pace Production in Exhibition Design through Sensory Experience - Focus on the Fish Museum case -

한국디자인포럼 | | 29 | 2010 | 디자인

토미즘에 있어서 감성교육은 필요한 것인가? - 토마스 아퀴나스 감성론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조명 -

Est-il nécessaire, pour le thomisme, l'éducation de la sensibilité? - L'illumination sur le sens moderne à la théorie de la sensibilité chez Thomas d'Aquin -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서양 근세철학 바로 읽기

Re-reading of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근대 도시의 청각적 재구성 - 1920년대 카프 시를 중심으로

An Acoustic Restructuring of Modern Cit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APF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의 청각적 재구성 - 1920년대 카프 시를 중심으로

An Acoustic Restructuring of Modern Cit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APF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에서 ‘감각’의 용법

The Use of Sensibility in Modern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에서 ‘감각’의 용법

The Use of Sensibility in Modern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