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관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인식/의식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43

STNet ID : 1000601

한자 : 言語觀
영어 : langugistic point of view

c02-02 인식/의식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가치관 [ 價値觀 ,價値觀 ]

N1:종류

hasKind (종류)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c02-02 인식/의식 /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불교적 언어관 () [ 佛敎的言語觀 ]

hasKind (종류)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c02-02 인식/의식 /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기독교적 언어관 () [ 基督敎的言語觀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언어 정책 () [ 言語政策 ]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언어 인식 [ 言語認識 ]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언어 사용 [ 言語使用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언어 이론 [ 言語理論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언어 분석 철학 [ 言語分析哲學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언어 문화 [ 言語文化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언어 담론 [ 言語談論 ]

RT (관련어)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언어 기능 [ 言語機能 ]

짠드라끼르띠의 이제설과 언어관

The Two Truths Theory and Theory of Language in Candrakīrti

인도철학 | 29 | 2010 | 철학

짠드라끼르띠의 이제설과 언어관

The Two Truths Theory and Theory of Language in Candrakīrti

인도철학 | | 29 | 2010 | 철학

새로운 학문통합 프로젝트로서의 통섭에 대한 철학적 반성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Consilience as a new Project to unify Sciences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

‘대학 역량기반 교육혁신' 담론의 교육학적 조건

The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on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al Innovation in Universities

교육원리연구 | 15 | 1 | 2010 | 교육학

‘대학 역량기반 교육혁신' 담론의 교육학적 조건

The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on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al Innovation in Universities

교육원리연구 | 15 | 1 | 2010 | 교육학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 Views of Language and the Perception Patterns of a Task Called Korean Establishment: With a focus on the Korean Uniqueness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에밀의 언어게임 : 루소의 교육방법 재고찰

Emile's Language Games : Reinterpretation of Rousseau's Educational Methods

도덕교육연구 | 24 | 1 | 2012 | 교육학

비트겐슈타인 언어이론의 도덕교육적 해석 - 도덕언어게임의 가능성 탐색 -

A Moral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the Theories of Language’of Wittgenstein -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moral language game -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비트겐슈타인 전·후기 철학의 일관성 : 교육학적 함의

The Consistency in Wittgenstein's Early and Late Philosophy : Educational Implications

교육철학연구 | 33 | 4 | 2011 | 교육학

교과의 선험적 정당화: 지식의 형식과 삶의 형식

The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of School Subjects : Form of Knowledge and Form of Life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분석철학과 언어적 전환

Analytic Philosophy and the Linguistic Turn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로티의 언어관에 담긴 듀이 사상의 수용과 변용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J. Dewey's Thought in R. Rorty's Viewpoint of Language

교육철학연구 | 34 | 3 | 2012 | 교육학

한국어의 말(言語) 관련 속담에 나타난 언어 인식

Language cognition of Korean speech proverbs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의 말(言語) 관련 속담에 나타난 언어 인식

Language cognition of Korean speech proverbs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 게임의 맥락

A Context for Language Game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