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취타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8400

한자 : 大吹打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군악 (軍樂)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재 제 46호

지정일자_t

1971. 06. 10.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무령지곡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세악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취타 [ 吹打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나각 [ 螺角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나발 [ 喇叭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보유자

 

정재국

한응태 <취타국거리>의 음악적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 44 | 2010 | 음악학

한응태 <취타국거리>의 음악적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 | 44 | 2010 | 음악학

구음을 활용한 대취타 장단 지도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Taechwita Changdan for using kuum, oral sound

국악교육 | 33 | 33 | 2012 | 한국음악이론/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