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서독 통일교육지침 결정 이후 중등 역사교과서의 동·서독 서술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fter publication of the guidelines on education for German reunification in 1978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3 |
2010 |
교육철학/사상
1978년 서독 통일교육지침 결정 이후 중등 역사교과서의 동·서독 서술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fter publication of the guidelines on education for German reunification in 1978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3 |
2010 |
교육철학/사상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새로운 모색 -동아시아적 시각과 ‘나눔과 배려’의 정신을 중심으로-
New examination on descriptions on Donghak peasant war in history textbooks -Focuses on East-Asian views and the spirit of ‘Sharing and caring’ -
역사와 담론 |
62 |
2012 |
역사학
이명박 정부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정책
Lee Myung Park Government’s Historical Awareness and Policies on History Education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한‧러 수교 이후 러시아의 한국 인식-러시아 대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Perceptions of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focusing on Russian university textbooks
국제지역연구 |
14 |
3 |
2010 |
지역학
한‧러 수교 이후 러시아의 한국 인식-러시아 대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Perceptions of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focusing on Russian university textbooks
국제지역연구 |
14 |
3 |
2010 |
지역학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Organization of Highschool‘ Korean History’Curriculum and Aspects of‘ Korean History’Textbook Approval
역사교육연구 |
12 |
2010 |
역사교육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Organization of Highschool‘ Korean History’Curriculum and Aspects of‘ Korean History’Textbook Approval
역사교육연구 |
|
12 |
2010 |
역사교육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2 ‘역사’교과서의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서술 내용 검토
Examination on Description of ‘Formation of Civi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Gojoseon’ In the Eighth Grade ‘History’ Textbook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유럽통합과 과거사 극복: 화해와 평화를 위하여? - 고(故) 김승렬의 연구 업적과 남겨진 과제 -
Europäische Integration und Vergangenheitsaufarbeitung - Für die Versöhnung und Frieden? Seung-Ryeol Kims wissenschaftliche Leistungen und die hinterlassenen Aufgaben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2 |
2011 |
역사학
독일 통일 후의 역사교육: 신연방주를 중심으로
Geschichtsunterricht nach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neuen Bundesländer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1 |
2011 |
역사학
독일의 세계사 교육: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ducation of World History in German High Schools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독일의 세계사 교육: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ducation of World History in German High Schools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Reading History Textbook Critically
역사교육연구 |
11 |
2010 |
역사교육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Reading History Textbook Critically
역사교육연구 |
|
11 |
2010 |
역사교육
통감부의 초등학교 역사교육정책과 역사인식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Korea and its History Educa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의 시각자료의 특징과 함의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aterials in Japanese Middle SchoolHistory Textbooks and its Implications
사회과교육 |
50 |
2 |
2011 |
교육학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나당전쟁 서술과 개선 방향
The Description Realities and Improving Direction in the Silla-Tang War of History Textbook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History Book Narrative Content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동학학보 |
24 |
2012 |
역사학
중등 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현안과 역사교육 개선 방안
Current Issues in the Secondary Level History Curriculum Development and History Education Enhancement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공포정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공포정치-
How to Teach ‘The Terror’: - ‘The Terror’ in French School-Textbooks -
역사교육 |
113 |
2010 |
역사학
공포정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공포정치-
How to Teach ‘The Terror’: - ‘The Terror’ in French School-Textbooks -
역사교육 |
|
113 |
2010 |
역사학
5학년 역사 내용 구성 방향
How Should Elementary School History Organized?
역사교육 |
117 |
2011 |
역사학
일본침략및강점기에 대한주변국들의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중심으로
Perception of modern Japanese invasion in Korea, Chinese and Taiwanese high school textbooks
역사교육연구 |
13 |
2011 |
역사교육
中國 歷史敎科書上의 韓國 關聯 敍述 內容 變化에 대한 檢討 -最近 初級中學 『中國歷史』 敎科書를 中心으로-
Change of Historical Narrations on Korea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of China - especially in Zhongguolishi Textbooks of Junior middle School in China-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中國 歷史敎科書上의 韓國 關聯 敍述 內容 變化에 대한 檢討 -最近 初級中學 『中國歷史』 敎科書를 中心으로-
Change of Historical Narrations on Korea in Chinese History Textbooks of China - especially in Zhongguolishi Textbooks of Junior middle School in China-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망각’에서 ‘성찰’ 그리고 ‘마주 보기’로 - 공동역사교재의 제작을 중심으로 ㅡ
「忘却」から「省察」, そして「向かい合い」- 歴史共同教材の作成を中心に -
역사교육 |
116 |
2010 |
역사학
‘망각’에서 ‘성찰’ 그리고 ‘마주 보기’로 - 공동역사교재의 제작을 중심으로 ㅡ
「忘却」から「省察」, そして「向かい合い」- 歴史共同教材の作成を中心に -
역사교육 |
|
116 |
2010 |
역사학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The Course of Revising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Its Nature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민주적인 역사교육정책의 수립과 실천 방안
The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Policies in a Democratic Way
역사비평 |
99 |
2012 |
역사학
역사교육과 국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민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이 중국 국가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national image -Centering arou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how history education in high school has effect on national image of china in Korea-
경주사학 |
32 |
2010 |
기타인문학
역사교육과 국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민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이 중국 국가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national image -Centering arou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how history education in high school has effect on national image of china in Korea-
경주사학 |
|
3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현대사에서 청산리전투에 관한 기억의 流動 ― 회고록·전기와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Changing Memories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in Modern Korean History ― Focusing on Memoirs, History Textbooks and Related Research
한국근현대사연구 |
57 |
2011 |
역사학
2011년도 지유샤(自由社) 역사교과서 동아시아사 서술의 변화와 특징 -전근대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Eastern Asia historical narration in Jiyusha’s middle school textbook of 2011. -focused on contents in the textbook of pre modern age-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The Cultual and Social Perception about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in the Textbooks of Korea and Thailand
한국과 태국 교과서의 동남아와 동북아에 관한 문화적 및 사회적 인식
아시아연구 |
14 |
3 |
2011 |
지역학
중국 역사교과서에 보이는 소수민족정책과 내용
The history textbook in China and the policy toward the Minority races
역사교육논집 |
44 |
2010 |
역사학
중국 역사교과서에 보이는 소수민족정책과 내용
The history textbook in China and the policy toward the Minority races
역사교육논집 |
|
44 |
2010 |
역사학
2011년 검정통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근대 서술에 나타난 변화와 특징: 한일관계 관련서술을 중심으로
Distinctive Changes in Japanese History Textbooks Passed Official Inspection 2011: Descriptions on the Korea-Japan Relations in Modern Period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History Educat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Section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2011 중·고교역사 교과서의서양전근대사 서술에관한분석
An Analysis of 20011 History School Textbooks: Centering on their Writings of Pre-Modern European History
역사교육연구 |
15 |
2012 |
역사교육
역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평가 연구 - 중학교 『역사(상) 』고려 단원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ies of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문화·역사지리의관점에서 본중등학교역사교과서
An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on the View of th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역사교육연구 |
15 |
2012 |
역사교육
독일 연방공화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의 전후 현대사 - 역사교과서에서의 동·서독 서술을 중심으로 -
The Post-war Period in the History Teaching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Depiction of Two Germany in History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독일 연방공화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의 전후 현대사 - 역사교과서에서의 동·서독 서술을 중심으로 -
The Post-war Period in the History Teaching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Depiction of Two Germany in History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민족해방운동사 서술에 대한 고찰 − 금성 교과서와 대안 교과서를 중심으로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Review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described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역사교과서 그림삽화의 유형과 평가기준-현행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How do pictorial illustrations help or impede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 Analysis of and guidelines for pictorial Illustrations in Middle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in Korea
역사교육논집 |
45 |
2010 |
역사학
역사교과서 그림삽화의 유형과 평가기준-현행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How do pictorial illustrations help or impede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 Analysis of and guidelines for pictorial Illustrations in Middle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in Korea
역사교육논집 |
|
45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