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진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0712

STNet ID : 1002488

한자 : 金基鎭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김팔봉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조선문인부국회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육군종군작가단 [ 陸軍從軍作家團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백조파 [ 白潮派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평론가 [ 評論家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소설가 [ 小說家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승희 [ 朴勝喜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복진 [ 金復鎭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별건곤 () [ 別乾坤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카프 () [KAPF]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이중어 상황과 문학 언어

Diaglossia and the Status of Korean Writing in the 1910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카프의 연극대중화론과 정치연극의 대중적 형식

KAPF's Controversy of Theatre-Popularization And Popular Forms of Political Theatre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카프의 연극대중화론과 정치연극의 대중적 형식

KAPF's Controversy of Theatre-Popularization And Popular Forms of Political Theatre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의 청각적 재구성 - 1920년대 카프 시를 중심으로

An Acoustic Restructuring of Modern Cit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APF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의 청각적 재구성 - 1920년대 카프 시를 중심으로

An Acoustic Restructuring of Modern Cit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APF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중반 ‘거리(街)’의 문학적 표상화 과정 연구

A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Process of ‘Stree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00~1920년대 감각 관련 개념의 사용 양상 연구- 김기진 비평에 나타난 ‘감각’ 개념에 대한 재인식과 관련하여

The Aspects of Concepts related to Sen않 in 1900-1920’s related with Concepts of Sense in Kim Ki-jin’s Criticism Ka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초기 프로문학에 나타난 ‘감성’과 ‘제도’의 문제

The emotion and system presented in the early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

近代 韓國文壇에 있어서의 石川啄木 受容에 대한 소고찰 - 김기진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about the Takuboku Ishikawa reception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world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近代 韓國文壇에 있어서의 石川啄木 受容에 대한 소고찰 - 김기진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about the Takuboku Ishikawa reception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world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연작소설 『황원행』의 집필 배경과 서사 특징 연구

A Study on narrative strategy of Hwangwonhaeng(The Road for Deserta)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김기진 비평에서 ‘감각’의 의미

‘Sensation’ and Kim, Gi-jin’s Criticisms in 1920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팔봉 김기진의 문학활동 연구

Study on Palbong Kim Kijin's Activities on Literary Works during the Korean War Time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팔봉 김기진의 문학활동 연구

Study on Palbong Kim Kijin's Activities on Literary Works during the Korean War Time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팔봉 김기진 비평 연구

A Study of Criticism of Palbong Kim Ki-Jin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