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건곤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684

한자 : 別乾坤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최승일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기진 [ 金基鎭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영희 () [ 朴英熙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기영 [ 李箕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상화 () [ 李相和 ]

RT (관련어)

집필진/잡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서구 () [ 李書九 ]

RT (관련어)

집필진/잡지

 

박달성

RT (관련어)

집필진/잡지

 

차상찬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적 자연 체험과 교양 담론

Modern Experience of Nature and Culture Discourse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The Rise of Modern Novel and the role of Chundogyo(天道敎)'s Media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별건곤≫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Occupational related reports of Byeolgeongon and the special feature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Occupational related reports of Byeolgeongon and the special feature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천리의 세(世)와 계(界) -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sub-society and world in Samcholi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천리의 세(世)와 계(界) -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sub-society and world in Samcholi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의 영화담론 연구

Study of Movie discourse in Beolgeongo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의 영화담론 연구

Study of Movie discourse in Beolgeongo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에서 드러난 도시 부르주아 문화와 휴양지 표상

The Urban Bourgois Culture And Representation Of Resort In The Byeolgungon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에서 드러난 도시 부르주아 문화와 휴양지 표상

The Urban Bourgois Culture And Representation Of Resort In The Byeolgungon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