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73

STNet ID : 1000729

한자 : 李相和
호(號) : 무량(無量)
호(號) : 상화(尙火)
호(號) : 상화(想華)
호(號) : 백아(白啞)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백조파 [ 白潮派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별건곤 () [ 別乾坤 ]

이별에 대한 사대부와 기녀의 상대적 시선 - 19세기 가사 <북천가>와 <군산월애원가>에 대한 비교론적 고찰

Relative Perspective of a high official and Ginyeo on Separation - A Comparative Study Bukchunga and Kunsanwolaega of 19th century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애도(哀悼)과정의 목회상담적 이해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Mourning from the Pastoral Perspective

목회와상담 | 15 | 2010 | 목회상담학

애도(哀悼)과정의 목회상담적 이해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Mourning from the Pastoral Perspective

목회와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한국 근대시 문학사 교육의 모형 연구 : 1920년대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Model about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Centered on the poems of Hong, Sayong and Lee, Sanghwa ―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근대 대구 문화예술계에 표출된 정신성

The Spirit Exhibited Within the Daegu Cultural & Artistic Circles during the Modern Period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적 디아스포라와 유랑 의식 -김소월, 이상화, 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Colonial Diaspora and Wandering Consciousness -Focusing on Kim, So-wol, Lee, Sang-hwa and Oh, Jang-hwan's Poetry-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적 디아스포라와 유랑 의식 -김소월, 이상화, 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Colonial Diaspora and Wandering Consciousness -Focusing on Kim, So-wol, Lee, Sang-hwa and Oh, Jang-hwan's Poetry-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농구의 이데아 -한국 남자 농구의 한미교류 양상과 미국화 비판-

The Idea of Korean basketball -with a focus on the history of basketball in Korea and critique of the americanization of men’s basketball-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1 | 2010 | 체육

한국 농구의 이데아 -한국 남자 농구의 한미교류 양상과 미국화 비판-

The Idea of Korean basketball -with a focus on the history of basketball in Korea and critique of the americanization of men’s basketball-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1 | 2010 | 체육

宇宙原理를 지향하는 「金剛頌歌」의 시적 코드

The Poetic Code of Keumkan Song-ga: an Aim for the Universal Principle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재고 -잡지 『개벽』을 중심으로-

The Reconsideration of Lee Sang Hwa's What Spring Comes Wrenched Field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재고 -잡지 『개벽』을 중심으로-

The Reconsideration of Lee Sang Hwa's What Spring Comes Wrenched Field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