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보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029

STNet ID : 9001342

한자 : 鄭寅普
기타 : Jeong In-bo
기타 : 담원(薝園)
기타 : 미소산인(薇蘇山人)
기타 : 위당(爲堂)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시문학파 [ 詩文學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강화학파 () [ 江華學派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석천유고 [ 石泉遺稿 ]

RT (관련어)

기고자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시문학 (1930-1931) [ 詩文學 ]

RT (관련어)

스승/제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건방 [ 李建芳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학대학 [ 國學大學 ]

RT (관련어)

 

a01-04-07 성씨 성씨

동래 정씨 () [ 東萊鄭氏 ]

근대한문학의 세 지향

The Three Stanc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한문학의 세 지향

The Three Stanc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근대계몽기 해학(海鶴) 이기(李沂)의 한문 인식

Yi Ki's recogni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Modern Enlightend age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해학(海鶴) 이기(李沂)의 한문 인식

Yi Ki's recogni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Modern Enlightend age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六書尋源』에 대한 近代漢文學界의 평가와 그 의미

On the meaning of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s estimation of Yukseoshimwon(六書尋源)

민족문화논총 | 47 | 2011 | 기타인문학

『六書尋源』에 대한 近代漢文學界의 평가와 그 의미

On the meaning of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s estimation of Yukseoshimwon(六書尋源)

민족문화논총 | 47 | 2011 | 기타인문학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A coherence of study on Shilhak and “Euidokgushil―deri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uniqueness” written by Jung In-bo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碧初 洪命憙의 漢詩에 대하여

On the poetry in Chinese character of Byeok-cho Hong Myeong-hee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A coherence of study on Shilhak and “Euidokgushil―deri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uniqueness” written by Jung In-bo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爲堂 鄭寅普의 選詩 의식 -동아일보 ‘今古詩叢’란을 중심으로-

A Sense of Poem Selection of Widang Jeong In-bo -Focusing on ‘Geumgosichong’ Column of Dong-a-il-bo-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爲堂 鄭寅普의 選詩 의식 -동아일보 ‘今古詩叢’란을 중심으로-

A Sense of Poem Selection of Widang Jeong In-bo -Focusing on ‘Geumgosichong’ Column of Dong-a-il-bo-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薝園 鄭寅普의 주체적 實心論

Damwon Jeong In‐bo’s Subjective Sil‐Sim‐Ron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