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B160200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B160300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706

STNet ID : 9009603

한자 : 擇里志

y02-01 문헌명

저작자

이중환 (李重煥)

시대1

조선 후기 (朝鮮後期)

장르/유형

지리서 (地理書)

이론/사상1

실학 (實學)

저작년_t

1751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팔역지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복거총론

hasComponent (구성요소)

 

 

팔도총론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풍수지리설 () [ 風水地理說 ]

조선후기의 주거관과 이상적 거주환경 논의 : 건강장수도시의 한국적 원형 탐구를 위한 문헌 고찰

A Study on the View of Ideal Dwelling Environ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 An Examination for Searching the Prototype of the Healthy & Longevity City in Korea

국토연구 | 73 | 2012 |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택리지』가 갖는 기후 및 식생 연구 자료적 의의

Significance of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Taekliji』(『擇里志』) as Climate and Vegetational Research Material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택리지』가 갖는 기후 및 식생 연구 자료적 의의

Significance of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Taekliji』(『擇里志』) as Climate and Vegetational Research Material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택리지'에 내재된 저탄소 녹색마을의 계획적 함의

Implications for Low-Carbon Green Village Planning from 'Taekriji'

국정관리연구 | 7 | 1 | 2012 | 기타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