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소설

연구분야 : A101600 인문학 > 문학 > 번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35

STNet ID : 9002215

한자 : 飜譯小說
영어 : translated novel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번역 문학 () [ 飜譯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번역 () [ 飜譯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재생연전 () [ 再生緣傳 ]

1910년대 후반 주요한의 소설 번역 연구 -학지광, 기독청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Joo-Yohan’s novel translations in the late 1910’s -Focusing on Hakjikwang and Gidok Cheongnyeon-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소설사에서 한글 전도문서의 위상

The Status Of Korean Christian Tracts In History of Korea Modern Novel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每日申報における長型敍事物の展開構圖 -1920年代以降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우당 주인(蕉雨堂主人) 육정수 연구

Study on Yook, Jung-Soo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의 「잃어진 寶石」과 반 다인 소설 번역의 맥락

A study on Translated Novels of Kim Yujung's 「Lost Jewel」 and S. S. Van Dine's Novels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설인귀전>의 소설사적 존재 의미

A Meaning of Existence on Novel History of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번역소설 <홍보석(紅寶石)> 연구 -일본소설 <신문팔이(新聞賣子)> 및 중국소설 <전술기담(電術奇談)>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 an Adapted Novel -Focusing on the Aspect of the Relation with the Chinese Novel of and the Japanese Novel of -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