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용철 시론 연구 ― ‘과학’이란 균열체를 중심으로
A Study of Park, Yong–cheol' poetics ― Focused on remider of 'science'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백(李白) 시가(詩歌)에 나타난 집착과 초월
Attachment and Transcendency of Libai's poetry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노천명시에 나타나는 고독의 변모 양상
(The) Transfiguration of Shown in the Roh Cheonmyeong Pomes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영랑 시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A Study on the Tragedy of Kim Yeong-Rang's Poetry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 연구를 위한 주요 개념의 명확화 및 보완점 탐색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Basic and Methodological Concept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Findings
교육사회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학
The Attachment Theory and Religiousness: Religious Studies and Pastoral Theological Issues
목회와상담 |
16 |
2011 |
목회상담학
嵇康의 人生觀- 隱逸을 中心으로 -
嵇康的人生觀 -以隱逸爲中心-
역사와 담론 |
62 |
2012 |
역사학
<動動> 頌禱之詞 盖效仙語의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s of 頌禱之詞 盖效仙語 in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動動> 頌禱之詞 盖效仙語의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s of 頌禱之詞 盖效仙語 in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The Space and the Landscape of NoojungGasa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칠성풀이> 속 경계 초월과 신성 획득의 메커니즘
Transcending Boundary and the Mechanism of Obtaining Divinity in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칠성풀이> 속 경계 초월과 신성 획득의 메커니즘
Transcending Boundary and the Mechanism of Obtaining Divinity in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레비나스, 그리고 가까움의 현상학 -하이데거의 동일자와 레비나스의 타자-
Lévinas, und Phänomenologie der »Nähe«
현상학과 현대철학 |
53 |
2012 |
철학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1) -『존재와 시간』에서 무가 갖는 세계와 자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Status of the Nothing in Heidegger’s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 of the Nothing to the World and the Self-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사유의 꽃 - 소식의 문학과 술
중국학논총 |
31 |
2010 |
중국문화학
사유의 꽃 - 소식의 문학과 술
중국학논총 |
|
31 |
2010 |
중국문화학
동아시아 문화의 타자성과 한문소설의 문화교육적 가치
The Altrui of the East Asian Culture and the Cultule-educational Value of Korean Chinese Novels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아시아 문화의 타자성과 한문소설의 문화교육적 가치
The Altrui of the East Asian Culture and the Cultule-educational Value of Korean Chinese Novels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 중국의 유교 논쟁
現代中國的儒敎論戰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2)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존재론적 차이와 무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On the Status of the Nothing in Heidegger’s Thought (Ⅱ) -On the Basis of Interpretation of the Nothing and Ontological Difference in Heidegger’s “What is Metaphysics?”-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운명과 초월의 서사 -<임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
Narrative of Fate and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Female Sufferings in LimSsiSamdaerok-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Sublime et seuil chez Philippe Jaccottet et Cho Jungkwon
숭고와 경계, 필립 자코테와 조정권
불어문화권연구 |
21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하이데거의 터있음(Dasein)의 교육
Heidegger's Education of Dasein
교육철학연구 |
34 |
1 |
2012 |
교육학
현상과 초월적 내재-하이데거 초기 사상에서의 현상학적 존재 분석과 그 신학적 기원에 관하여
Phenomena and the Transcendence in Immanence -An Essay on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Being in the Early Heidegger and its Theological Origin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여자 되기’에서 ‘젠더 하기’로 - 버틀러의 보부아르 읽기
From 'Becoming Woman' to 'Doing Gender' - Judith Butler's Reading of Simone de Beauvoir's Second Sex
한국여성철학 |
13 |
2010 |
여성철학
‘여자 되기’에서 ‘젠더 하기’로 - 버틀러의 보부아르 읽기
From 'Becoming Woman' to 'Doing Gender' - Judith Butler's Reading of Simone de Beauvoir's Second Sex
한국여성철학 |
13 |
|
2010 |
여성철학
우리 역사에 나타난 여성과 기독교의 이음새: 그 맞물림과 엇물림의 사회사
The Encounter of Protestantism andWomen in Modern Korea
여성과 역사 |
14 |
2011 |
여성사(역사학)
앤디 워홀과 그의 예술의 신학적 해석 -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기독교와 예술의 점멸적 관계를 향하여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Andy Warhol and His Art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7 |
2011 |
기독교신학
통섭 비판-칸트의 ‘이성비판’의 관점에서
Critique of Consillience-In the perspective of ‘Critique of pure reason’
인문과학연구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실용주의는 공리주의인가?
How Different is Pragmatism from Utilitarianism?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God as Illeity, Buddha Nature, and Transcendence in Literature
문학과 종교 |
16 |
2 |
2011 |
기타인문학
초월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 철학적 에로스와 신앙 - 소크라테스와 키르케고르를 중심으로 -
A Resilient Challenge toward Transcendence: Philosophical Eros and Faith - A study on Kierkegaard and Socrates -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M.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본 현존재의 실존과 초월
Dasein’s existence and transcendence in the Viewpoint of M.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고린도전서 9:19-23; 복음, 해석학, 선교, 문화에 대한 사도바울의 이해
1.Kor. 9:19-23; das Verstaendnis des Apostels Paulus von Evangelium, Hermeneutik, Mission, Kultur
선교와신학 |
30 |
2012 |
기독교신학
关于死亡的沉思
죽음에 관한 사유
생명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
레비나스의 종교사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on Levinas’ Thought of Religion
해석학연구 |
26 |
2010 |
철학
레비나스의 종교사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on Levinas’ Thought of Religion
해석학연구 |
|
26 |
2010 |
철학
사회적 소수자 연구 윤리로서의 ‘초월’: 국제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들을 ‘직면(直面)’해야 하는 한 연구자의 성찰일지
Transcending oneself as an ethics of qualitative research on social minorities
교육인류학연구 |
15 |
1 |
2012 |
교육학
레비나스의 ‘초월’ 운동에 대한 교육적 해석 - 장상호의 ‘교육의 수레바퀴’의 관점에서 -
An Educational Reinterpretation of Emmanual Levinas's Concept of Transcendence
교육원리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레비나스의 ‘초월’ 운동에 대한 교육적 해석 - 장상호의 ‘교육의 수레바퀴’의 관점에서 -
An Educational Reinterpretation of Emmanual Levinas's Concept of Transcendence
교육원리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하이데거의 ‘전회’가 갖는 철학적인 의미의 신학적인 수용: 슐라이어마허와 틸리히의 주체중심적인 중재신학을 넘어서
A Study of Theological Acceptance of Heidegger’s Turn: Beyond the Subject-centric Theology of Mediation of Schleiermacher and Tillich
신학사상 |
153 |
2011 |
기독교신학
초월에서 초월로: 정약용의 상제
From transcendence to transcendence: Sangje in Jeong Yak-yong's theory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현존재의 초월과 이상적인 삶
Die Transzendenz des Daseins und das ideale Leben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초월영성상담의 과정과 기법에 대한 접근: 위빠사나와 아유르베다를 중심으로
An Approach to the process and the techniques of transcendental spiritual counselling: Focusing Vipassana and Ayurveda
상담학연구 |
13 |
1 |
2012 |
교육학
신채호의 「꿈하늘」에 나타난 민족주의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ism of Shin, Chae-ho's KKumhanul
인문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