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理)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927

STNet ID : 1002862

한자 : 理
동의어(UF) : 리(理)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기 [ 理氣 ]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본연지성 [ 本然之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이기 논변 [ 理氣論辯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일원론 () [ 理一元論 ]

RT (관련어)

 

 

이기일체론 () [ 理氣一體論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사칠논변 () [ 四七論辨 ]

유교경전의 동이 인식에 관한 연구 — 13경 및 그 주석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wareness about “Dong-YI(東夷)” in Confucianism scripture

한국철학논집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유교경전의 동이 인식에 관한 연구 — 13경 및 그 주석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wareness about “Dong-YI(東夷)” in Confucianism scripture

한국철학논집 |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華西思想의 특성과 현대적 의미

A characteristic and modern meaning of the Hwa-Seo`s Thought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華西思想의 특성과 현대적 의미

A characteristic and modern meaning of the Hwa-Seo`s Thought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자와 묵자 의리관의 특성과 통합 가능성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f Integration possibility about Confucious and Mozi's feature of Justice and Benefit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させる」と「시키다」の意味的な関係及びその背景

The Relation and Background in the View of Semantics of 「SASERU」 and 「SIKIDA」

일본학보 | 84 | 2010 | 일본어와문학

「させる」と「시키다」の意味的な関係及びその背景

The Relation and Background in the View of Semantics of 「SASERU」 and 「SIKIDA」

일본학보 | | 84 | 2010 | 일본어와문학

W. S. 머윈의 생태시: 암울한 현실과 심미적 시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W. S. Merwin’s Ecopoetr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Bleak Reality and Aesthetic Poetry

미국학 논집 | 43 | 3 | 2011 | 영어와문학

조사 ‘이서’에 대하여

On A Case Marker ‘ISO’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사 ‘이서’에 대하여

On A Case Marker ‘ISO’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혼」의 理氣論的 고찰

A study on Kim, So-Wol's poetics Sihon(詩魂) with Liki(理氣)philosophy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혼」의 理氣論的 고찰

A study on Kim, So-Wol's poetics Sihon(詩魂) with Liki(理氣)philosophy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