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수

연구분야 :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500

STNet ID : 1002888

한자 : 沒收
독일어 : Einziehung
영어 : Forfeiture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반복 범죄 예방 및 범죄 이득 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가형 [ 附加刑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범죄 수익 몰수 [ 犯罪收益沒收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재산형 [ 財産刑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간접수용 [ 間接受容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소유권 박탈

정보영장 제도 도입방안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Warrant

경찰학연구 | 11 | 3 | 2011 | 법학

형법총칙 개정안의 형벌제도와 형사정책적 방향

Die Strafensystem und kriminalpolitische Konzeption im 2011 Entwurf des Allgemeinen Teil von koreanischen Strafgesetzbuch

성균관법학 | 23 | 3 | 2011 | 법학

압수물의 처리 및 환부제도에 관한 시론

A Study on the Disposition of Seized Properties and Returning Procedures

성균관법학 | 23 | 3 | 2011 | 법학

실질적 처분권과 몰수․추징의 대상인 뇌물

Transfer of substantial disposition and bribe confiscated or collection of the corresponding value

형사법연구 | 22 | 4 | 2010 | 법학

실질적 처분권과 몰수․추징의 대상인 뇌물

Transfer of substantial disposition and bribe confiscated or collection of the corresponding value

형사법연구 | 22 | 4 | 2010 | 법학

범죄수익박탈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A Study on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Deprivation of the Proceeds from Crime

법조 | 60 | 10 | 2011 | 법학

미국의 범죄수익환수기법과 국내 도입가능성

형사법의 신동향 | 25 | 2010 | 형법

미국의 범죄수익환수기법과 국내 도입가능성

형사법의 신동향 | | 25 | 2010 | 형법

부패재산회복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부패재산의몰수및회복에관한특례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sset Recovery of Corruption Crime -Focused on the Legislation of Confiscation and Recovery of Asset from Corruption Crime-

아주법학 | 4 | 1 | 2010 | 법학

부패재산회복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부패재산의몰수및회복에관한특례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sset Recovery of Corruption Crime -Focused on the Legislation of Confiscation and Recovery of Asset from Corruption Crime-

아주법학 | 4 | 1 | 2010 | 법학

외국 몰수 재결집행에 관한 몇 가지 문제

关于执行外国没收裁决的几个问题

비교형사법연구 | 13 | 2 | 2011 | 법학

범죄수익몰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011년 형법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Confiscation of Proceeds of Crime - By Focusing on a Review of the 2011 Amendment of the Korean Criminal Code -

인권과 정의 | 420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