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리

연구분야 : B130103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 기초법

클래스 : 원칙/법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531

한자 : 法元利
영어 : legal principles

d01-02 원칙/법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적법 절차 원리 [ 適法節次原理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속인 주의 [ 屬人主義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속지 주의 [ 屬地主義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신법 우선의 원칙 [ 新法 優先-- 原則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상위법 우선의 원칙 [ 上位法 于先-- 原則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적합성의 원칙 [ 適合性-- 原則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자연법론 [ 自然法論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사정변경의 원칙 [ 事情變更-- 原則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사전주의 원칙 [ 事典注意 原則 ]

hasKind (종류)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사적자치의 원칙 () [ 私的自治--原則 ]

주권 주체와 주권의 한계: 바이마르 공화국 주권 논쟁의 한 단면

Das Subjekt der Souveränität und ihre Grenze innerhalb der Weimarer Souveränitätsdebatte

법철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해석근거로서의 ‘법질서의 통일성’과 ‘형법의 독자성’

‘Unity of legal order’ and ‘Identity of criminal law’ as Basis of interpretation

비교형사법연구 | 13 | 2 | 2011 | 법학

법규칙과 법원리 구별의 유용성과 한계

The utility of distinguishing legal principles from legal rules and its limits

강원법학 | 34 | 2011 | 기타법학

형식적 법체계모델과 실질적 법체계모델

Formal vs. Substantial Modeling of the Legal System

외법논집 | 34 | 4 | 2010 | 법학

형식적 법체계모델과 실질적 법체계모델

Formal vs. Substantial Modeling of the Legal System

외법논집 | 34 | 4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