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연구분야 : A130100 인문학 > 일본어와문학 > 일본어학

클래스 : 각국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62

한자 : 日本語
영어 : Japanese language
영어 : Japanese

e03-02 각국어

ISO639-2_t

ja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상대 경어 () [ 相對敬語 ]

S:동의

UF (비우선어)

완전어/준말

 

일어 [ 日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일본어족 [ 日本語族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2-01 문헌명 문헌명

첩해신어 [ 捷解新語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일본어 권 () [ 日本語圈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 [ 韓國人日本語學習者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일본어 교육 () [ 日本語敎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영일 사전 () [ 英日辭典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일본어 교재 () [ 日本語敎材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대사풍송문고 () [ 東大寺諷誦文稿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헨타이가나 [ 変体仮名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종조사 [ 終助詞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대한일보 [ 大韓日報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조선고가요집 [ 朝鮮古歌謠集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가타가나 [ 片假名 ]

hasMethod (방법/기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가나 [ 仮名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문말 표현 [ 文末表現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일본어 음운론 [ 日本語音韻論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일본어 소설 () [ 日本語小說 ]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Conceptual Features of Korean Linguistics of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 Focused on Ju Si-gyeong and Ge Bong-u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Conceptual Features of Korean Linguistics of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 Focused on Ju Si-gyeong and Ge Bong-u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고향」에서 「조선의 얼굴(朝鮮の顔)」로-현진건의 단편소설의 구축과 일본어 번역

From 「Kohyang」 to 「A Korean face」;The construction of Hyeon Jin-gun's short story and Japanese Transla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자음 체계 대조 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A Contrastive Study on Consonant Systems: the Cases of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자음 체계 대조 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A Contrastive Study on Consonant Systems: the Cases of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말기 조선영화와 연설의 정치학

Films and the Politics of Speech in the Late Colonial Korea

문학과 영상 | 13 | 3 | 2012 | 영상문학

한자 어휘 교육 전략

A Study of the Strategy of Education on Sino-Korean Words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자 어휘 교육 전략

A Study of the Strategy of Education on Sino-Korean Words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어 전공자의 내적 환경요인이 전공만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日本語文學 | 1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韓国と中国の中学校における日本語教育に関する一考察 -韓国と中国の教科書の比較を中心に-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에 있어서 일본어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과 중국 교과서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어교육연구 | 20 | 2011 | 일본어교육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부 국어 관형 표현의 일본어 영향설에 대하여

Japanese Influence on Some Korean Genitive Construction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의 위계와 어법의 균열 -해방기~1960년대, 한국의 언어적 혼종상태와 문학자의 자의식

Hierarchy of Languages and Rupture of Grammar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일본 고전문학 연구와 제언 -근대문학 논문 사용 언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한자어의 유형 분류 재고: 한중일 한자어의 대조언어학적 연구를 위한 고찰

A study of the categorization of Chinese chracters ; For the Comparison of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Japanese and Chinese

언어와언어학 | 52 | 2011 | 언어학

청말 일본으로의 유학생 파견과 일본어

清末の日本への留学生派遣と日本語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조선총독부의 ‘국어보급운동’에 대한 오피니언 분석 ―『오사카아사히신문』조선판『반도의 소리』를 중심으로 ―

朝鮮総督府の「国語普及運動」に対するオピニオン分析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김시종과 일본어, 그리고 ‘조선어’

金時鐘と日本語、そして「朝鮮語」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조선 유행가의 일본어 가사

Japanese lyrics of popular song in colonial Korea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명(命名)표현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차량명칭을 중심으로-

A Contrastive Study on the Name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명명(命名)표현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차량명칭을 중심으로-

A Contrastive Study on the Name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韓日 기초어휘의 複合度 대조

A contrastive study on the degrees of compositeness in basic vocabulary of Korean and Japanese

일본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韓日 기초어휘의 複合度 대조

A contrastive study on the degrees of compositeness in basic vocabulary of Korean and Japanese

일본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PARALLELS BETWEEN KOREAN, NANAI AND JAPANESE LANGUAGES ON LEXICAL AND MORPHOLOGICAL LEVELS

한국어, 나나이어, 일본어의 어휘 및 형태 차원의 몇 가지 유사점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발화 스타일에 따른 일본어 음성의 변이 연구 -음성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잠정(暫定), 배제(排除), 단행(單行), 병행(竝行) 정립 과정을 거쳐 일본어로부터 유래된 한국어 법령 용어

Korean law terms that came from Japanese through the formulation process of temporary, exclusion, single, combination

유라시아연구 | 8 | 4 | 2011 | 기타사회과학

‘발화 스타일에 따른 일본어 음성의 변이 연구 -음성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自立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助動詞に関する分析

An Independent Using of Japanese Auxiliary Verb

유라시아연구 | 8 | 2 | 2011 | 기타사회과학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일본어학연구 | 27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

韓国人学習者の日本語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

일본어학연구 | | 27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