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교육과정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629

STNet ID : 1003363

한자 : 國家敎育課程
영어 : National Curriculum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국가수준교육과정 [ 國家水準敎育課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N1:종류

hasKind (종류)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 [ 高等學校敎育課程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학교중심 교육과정 () [ 學校中心敎育課程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 [ 國家敎育課程情報--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학교 교육과정 () [ 學校敎育過程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육과정 재구성 () [ 敎育課程再構成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6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제6차 교육과정 (1995-2002) [ 第六次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7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제7차 교육과정 (고시 제1997-15호) [ 第七次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1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제1차 교육과정 () [ 第一次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2

 

제2차 교육과정 (1963-1973) [ 第二次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3

 

제3차 교육과정 (1973-1981) [ 第三次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4

 

제4차 교육과정(第四次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5

 

제5차 교육과정(第五次敎育課程) ()

핀란드 종합학교(comprehensive school) 교육과정 편성 ․ 운영의 특징 고찰

Basic features of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9 | 1 | 2011 | 교육학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Curriculum design for competence-based education: Application of 'process-inquiry' model

교육과정연구 | 30 | 1 | 2012 | 교육학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천 -고등학교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the Purposes and Cont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cused on the Social Sciences of High School Curriculum-

시민교육연구 | 44 | 2 | 2012 | 교육학

중등학교 법 교육의 방향과 목표 재설정을 위한 시론: 목적ㆍ수단ㆍ한계 및 그 밖의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A Critical Discussion over the Direction and the Goals of Law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법교육연구 | 5 | 2 | 2010 | 기타교육학

중등학교 법 교육의 방향과 목표 재설정을 위한 시론: 목적ㆍ수단ㆍ한계 및 그 밖의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A Critical Discussion over the Direction and the Goals of Law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법교육연구 | 5 | 2 | 2010 | 기타교육학

교육과정의 질 개념화 방향 탐색

How to conceptualize the ‘quality’ of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30 | 3 | 2012 | 교육학

국가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성 관련 지침의 개선 방향 탐색 - 캐나다, 영국, 호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n Creativity-related Guideline in the National Curriculum - Comparing with Canadian, English, and Australian Curriculum -

교육문화연구 | 17 | 2 | 2011 | 기타교육학

교사 교육과정 운영의 현상학과 그 파르마콘

Phenomenology of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its pharmakon

인격교육 | 5 | 1 | 2011 | 기타교육학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Implications and Successful Factors of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Education

통합교육과정연구 | 5 | 2 | 2011 | 교육학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논쟁:국가교육과정의 내용 및 처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A review on debate about primary curriculum reform in England: Focusing on discourse about reducing content and prescrip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9 | 1 | 2011 | 교육학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ng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to Core Competencies

교육과정평가연구 | 15 | 2 | 2012 | 교육학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Review on the Australian Curriculum: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비교교육연구 | 21 | 2 | 2011 | 교육학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와 관련 규정의 비교 고찰 - 한국, 일본, 영국, 미국(캘리포니아주)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urriculum-in the cases of Korea, Japan, U.K., U.S.A.(California)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3 | 2011 | 교과교육학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

An Analysis and Discourse for Improving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교과교육학연구 | 15 | 2 | 2011 | 교과교육학

교육과정 문서체제 비교 -미국, 영국, 캐나다, 핀란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ucture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비교교육연구 | 21 | 5 | 2011 | 교육학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제도적 쟁점 고찰

Examination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Korean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Institutional Issu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예술교육연구 | 8 | 1 | 2010 | 예술교육학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제도적 쟁점 고찰

Examination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Korean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Institutional Issu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예술교육연구 | 8 | 1 | 2010 | 예술교육학

국가 교육과정 내의 다문화교육과 ‘종교’교과교육 ― 다문화사회와 다종교사회의 연관성과 함의를 중심으로 ―

Multicultural and Religious Education in National Curriculum ― Focusing on Relations and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

종교연구 | 61 | 2010 | 종교학

국가 교육과정 내의 다문화교육과 ‘종교’교과교육 ― 다문화사회와 다종교사회의 연관성과 함의를 중심으로 ―

Multicultural and Religious Education in National Curriculum ― Focusing on Relations and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

종교연구 | | 61 | 2010 | 종교학

통일교 중등학교 교과서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Religious Textbooks of Unificationism School

종교교육학연구 | 38 | 2012 | 종교학

사회적 갈등 해결과정으로서의 교육과정 개발체제 구축의 필요성 - 사회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conceptualizing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s a Social Conflict Resolution - Cases from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Field -

사회과교육연구 | 17 | 2 | 2010 | 사회교육학

사회적 갈등 해결과정으로서의 교육과정 개발체제 구축의 필요성 - 사회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conceptualizing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s a Social Conflict Resolution - Cases from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Field -

사회과교육연구 | 17 | 2 | 2010 | 사회교육학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역사교육, 그리고 이후의 변화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and the Change in 2011 of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논집 | 47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