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 소리

연구분야 :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904

한자 : 西道--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민요 (民謠)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지정일자_t

1969년 09월 27일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평안도 [ 平安道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황해도 [ 黃海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무형 문화재 () [ 無形文化財 ]

북한의 창극 변화 양상 연구 ― 조령출의 월북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Pansori: focusing on works of Cho Ryoung Chool defected to North Korea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창극 변화 양상 연구 ― 조령출의 월북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Pansori: focusing on works of Cho Ryoung Chool defected to North Korea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면곡>을 통해 본 19세기 시정문화와 그 주변

The urban culture and surroundings in the 19C as seen through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면곡>을 통해 본 19세기 시정문화와 그 주변

The urban culture and surroundings in the 19C as seen through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