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치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17

STNet ID : 1000265

한자 : 德治
영어 : rule by virtue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덕德 () [ 德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인(仁) () [ 仁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인의예지 [ 仁義禮智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수기치인 [ 修己治人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왕도 [ 王道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철인 정치 [ 哲人政治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정 () [ 仁政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제자백가서 [ 諸子百家書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규범화 [ 規範化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경세 [ 經世 ]

RT (관련어)

 

 

군자 통치론 [ 君子統治論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법가 [ 法家 ]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군(君), 신(臣), 민(民)의 존재와 공자의 이상사회

Jun(君), Chen(臣), Min(民) and Confucius Utopia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군(君), 신(臣), 민(民)의 존재와 공자의 이상사회

Jun(君), Chen(臣), Min(民) and Confucius Utopia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憂亭 金克成의 官僚活動과 經世觀

Ujeong Kim Geuk-seong's Government Service and Thought of Governance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가철학에서 본 리더의 자질론 - 선진유가철학을 중심으로 -

從儒家哲學看領袖的才能與品德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

南冥 曺植의 사회변혁론 : 「戊辰封事」를 중심으로

Cho Sik’s social change theory-based on ‘Mujinbongsa’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南冥 曺植의 사회변혁론 : 「戊辰封事」를 중심으로

Cho Sik’s social change theory-based on ‘Mujinbongsa’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장자』 외ㆍ잡편에 나타난 군주 통치론

On the Theory of Government in the Outer and Miscellaneous Chapters of Zhuangzi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장자』 외ㆍ잡편에 나타난 군주 통치론

On the Theory of Government in the Outer and Miscellaneous Chapters of Zhuangzi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해방 후 현상윤의 儒學인식과 사상적 지향 - 평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of Confucianism by Hyeon Sang-yun and His Ideological Orient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1945 -Focusing on the Change in Hyeon Sang-yun’s Evaluation of Confucianism–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孔子의 正名論에 대한 일고찰

Some Reflections on Confucian 'Rectification of Names(正名)'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The Governances by Punishment, Law and Virtue: 'Good Politics' in Joseon Dynast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德治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卽位儀禮 - 덕치와 왕권확립, 그 길항관계의 의례적 구성과 그 해석 -

The Enthronement Rite of Confucian States as the Symbol System of Rule of Virtue - The ritual formation and its interpretation o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rule of virtue and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