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학교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교육기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00

STNet ID : 1000417

한자 : 普通學校
영어 : primary school

a02-02 교육기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일제강점기 () [ 日帝强占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학교 [ 學校 ]

R1:개념적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조선교육령 (1911) [ 朝鮮敎育令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일제강점기 교육 () [ 日帝强占期敎育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a02-02 교육기관 /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등보통여학교 [ 高等普通女學校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a02-02 교육기관 교육기관

공업 학교 [ 工業學校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등보통학교 [ 高等普通學校 ]

日帝强占期 普通學校 『朝鮮語及漢文讀本』의 性格 - 第一次 敎育令期 四學年 敎科書의 ‘練習’을 中心으로 -

Feature of 『Chosun-uh-gup-Hanmun-Dokbon』, Governmental Elementary School Textbook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Exercises of the Textbook for 4th Grade at 1st Educational Law Periods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1900년대 초∼1920년대 日帝의 在滿朝鮮人교육정책 연구

1900年代初~1920年代日帝对在滿朝鲜人的敎育政策

사학연구 | 99 | 2010 | 역사학

1900년대 초∼1920년대 日帝의 在滿朝鮮人교육정책 연구

1900年代初~1920年代日帝对在滿朝鲜人的敎育政策

사학연구 | | 99 | 2010 | 역사학

日帝强占期 『國語讀本』에 投影된 軍事敎育

A Military Discipline Revealed in Textbook on Japanese in Japanese Imperialism

일본어문학 | 56 | 2012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시대 도서지역의 교육사정 - 여수 사립초도학교의 설립경과와 운영 -

The Education of the Island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hodo Private School -

한국도서연구 | 22 | 4 | 2010 | 지역학

식민지시대 도서지역의 교육사정 - 여수 사립초도학교의 설립경과와 운영 -

The Education of the Island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hodo Private School -

한국도서연구 | 22 | 4 | 2010 | 지역학

일제시대 보통학교 「직업」교과의 도입과 그 성격

日帝時代における普通學校の「職業科」の導入とその性格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日帝强占期 일본어교과서에 나타난 天皇像 -朝鮮總督府 編纂 『國語讀本』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The Elementary Education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Making the Nation’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