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부조화

연구분야 : B050600 사회과학 > 경영학 > 판매관리/마케팅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593

STNet ID : 1002660

한자 : 感情不調和
영어 : emotional dissonance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2 심리 심리

직무 몰입 [ 職務沒入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b01-03 경제/산업활동 / c02-01 감정 감정

감정 노동 [ 感情勞動 ]

resultsIn (산물/결과)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직무 소진 () [ 職務消盡 ]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직무 자율성 [ 職務自律性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표면 행위 [ 表面行爲 ]

직무특성과 정서노동이 직무몰입과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on Job Involvement and Innovativenes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35 | 3 | 2011 | 경영학

스포츠센터 강사들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성취감에미치는 영향: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

Commitment to Emotional Display Rules as a Moderator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and Accomplishment

체육과학연구 | 23 | 2 | 2012 | 체육

서비스종사원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감정부조화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Attitudes

인적자원관리연구 | 18 | 1 | 2011 | 경영학

호텔예식 및 웨딩관련 종사원의 감정표현 요구가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Display Rule Demands on the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Attitude of Hotel and Wedding Service Workers

관광레저연구 | 24 | 6 | 2012 | 관광학

감정노동과 종업원의 심리적 안녕이 감정적 부조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대한경영학회지 | 25 | 1 | 2012 | 경영학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 하에서 비호감 고객에 대한 지각의 선행 및 결과요인 간의 구조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Hotel Employees' Perceptions of Disliked Customers in Emotional Labor

호텔관광연구 | 12 | 4 | 2010 | 호텔/외식산업경영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 하에서 비호감 고객에 대한 지각의 선행 및 결과요인 간의 구조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Hotel Employees' Perceptions of Disliked Customers in Emotional Labor

호텔관광연구 | 12 | 4 | 2010 | 호텔/외식산업경영

서비스산업 종사원의 감정부조화, 소진,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콜센터 상담직원을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Dissonance,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Call Center Employees

고객만족경영연구 | 13 | 2 | 2011 | 경영학

카지노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따른 감정부조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on Job Satisfaction for the Casino Employee’s

호텔관광연구 | 13 | 4 | 2011 | 호텔/외식산업경영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Dissona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Hotel Employees

관광학연구 | 36 | 7 | 2012 | 관광학

호텔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특성에 따른 감정 부조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upo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관광레저연구 | 23 | 6 | 2011 | 관광학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직무소진, 직무태도 간의 영향 관계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attribute of Hotel Employees

관광연구 | 25 | 2 | 2010 | 관광학일반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직무소진, 직무태도 간의 영향 관계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attribute of Hotel Employees

관광연구 | 25 | 2 | 2010 | 관광학일반

호텔종사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related Attitudes

관광학연구 | 34 | 1 | 2010 | 관광학

호텔종사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related Attitudes

관광학연구 | 34 | 1 | 2010 | 관광학

감정부조화와 감성지능이 서비스직 사원의 비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ervice Employeeon their Non-task Behaviors

경영학연구 | 39 | 4 | 2010 | 경영학

감정노동과 직장-가정 갈등:직무소진의 두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Emotional Labor and Work-Family Conflict as Two Antecedents to the Job Burnout

인사조직연구 | 19 | 1 | 2011 | 경영학

감정부조화에 의한 감정조절 행위와 정신적 고갈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ification Variable of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by Self Efficacy

경영교육연구 | 64 | 2010 | 경영학

감정부조화에 의한 감정조절 행위와 정신적 고갈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ification Variable of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by Self Efficacy

경영교육연구 | | 64 | 2010 | 경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