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인식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983

STNet ID : 1002816

한자 : 音韻認識
영어 : phonological awareness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음운 처리 [ 音韻處理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명명속도 [ 命名速度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이중결함가설 [ 二重缺陷假說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음운 인식 능력 [ 音韻認識能力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낱자 지식 [ --字知識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글자 지식 [ --字知識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읽기 유창성 () [ --流暢性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청각적 순차처리 () [ 聽覺的順次處理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낱말 재인 [ --再認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음운 인식 검사 () [ 音韻認識檢査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음운 구조 [ 陰韻構造 ]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to Literacy Development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to Literacy Development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A Study on the literacy of underachiever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단순 읽기 관점에 따른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특성

Simple View of Read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지적장애연구 | 12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단순 읽기 관점에 따른 지적장애 중학생의 읽기 특성

Simple View of Read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지적장애연구 | 12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의 읽기능력 및 읽기관련변인에 대한 종단연구

Relationships among Word Recognition, Reading Comprehension, Phonological Awareness, Working Memory, Listening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Skill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of Second and Third Graders

언어치료연구 | 20 | 1 | 2011 | 교육학

읽기 학습 부진아에 대한 초등 영어 멘토링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Ment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imited English Reading Abilities

언어학 연구 | 21 | 2011 | 기타언어학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지식, 단기기억, 작동기억과 한글 단어인지 능력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읽기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기초연구

The Relationship of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Letter Knowledge,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to Hangul Word Recognition Abilities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지식, 단기기억, 작동기억과 한글 단어인지 능력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읽기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기초연구

The Relationship of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Letter Knowledge,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to Hangul Word Recognition Abilities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Language Based Reading Abilities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2 | 2010 | 교육학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Language Based Reading Abilities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2 | 2010 | 교육학

도시와 농촌 아동의 인지 언어적 기술과 문식성 · 수학 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 of cognitive-linguistic skills with literacy and mathematics skills among children living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유아교육연구 | 32 | 3 | 2012 | 교육학

이중결함가설에 근거한 취학 전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읽기장애 요인

Factors Related to Reading Disabilities i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Based on Double-Deficit Hypothesis

언어치료연구 | 21 | 2 | 2012 | 교육학

조기 문식성 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Study of an Early Literacy Test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4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 간의 기울기 타당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Validating the Growth Rat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Fluency within an Response to Intervention: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 간의 기울기 타당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Validating the Growth Rat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Fluency within an Response to Intervention: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힙합(Hip Hop)을 활용한 유아영어지도가 음운인식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ip Hop Based Kindergarten English Instruction on Kindergarteners' Phonological Awareness and Interests

영어교과교육 | 10 | 1 | 2011 | 영어교육

블렌디드러닝 기반 음운 인식 활동을 통한 초기 영어 읽기 능력 향상 방안

Reading improvement program for early EFL readers: A case study of blended learning in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3 | 2012 | 언어학

음운처리의 요인 구조: 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자동 이름대기는 별개의 능력인가?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Processing: Ar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Rapid Automatized Naming Independent Abilitie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2 | 2010 | 교육학

음운처리의 요인 구조: 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자동 이름대기는 별개의 능력인가?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Processing: Ar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Rapid Automatized Naming Independent Abilitie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2 | 2010 | 교육학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이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The Effects of Early Literacy Skills on Young Children's Word Reading: Analysis Based on Children's Age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유아교육학논집 | 14 | 5 | 2010 | 교육학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이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The Effects of Early Literacy Skills on Young Children's Word Reading: Analysis Based on Children's Age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유아교육학논집 | 14 | 5 | 2010 | 교육학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과 단어읽기, 단어쓰기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n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Early Literacy Skills, Word Reading, and Word Writing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5 | 2010 | 교육학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과 단어읽기, 단어쓰기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n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Early Literacy Skills, Word Reading, and Word Writing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5 | 2010 | 교육학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처리 활동 중재

언어치료연구 | 19 | 1 | 2010 | 교육학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처리 활동 중재

언어치료연구 | 19 | 1 | 2010 | 교육학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

Differences in early literacy skills relating to age and family socio-economic status

유아교육연구 | 31 | 1 | 2011 | 교육학

4세-7세 유아들의 낱자 지식과 음운인식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letter-sound correspondence and age

학습장애연구 | 8 | 1 | 2011 | 교육학

이중결함가설에 따른 읽기장애 하위유형의 특성과 읽기 하위기술 간 차이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 between Subgroup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double-deficit hypothesi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이 단어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 및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Analysis Based on the Effects of Early Literacy Skills on Young Children's Word Writing by Children's Age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 | 4 | 2010 | 교육학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이 단어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 및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Analysis Based on the Effects of Early Literacy Skills on Young Children's Word Writing by Children's Age and Their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 | 4 | 2010 | 교육학

수업언어가 제2언어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2 | 2010 | 영어교육

수업언어가 제2언어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2 | 2010 | 영어교육

직접교수가 AAC체계를 사용하는 비구어 뇌성마비 학생들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for Students with Nonverbal Cerebral Palsy

특수교육연구 | 17 | 1 | 2010 | 특수교육

직접교수가 AAC체계를 사용하는 비구어 뇌성마비 학생들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for Students with Nonverbal Cerebral Palsy

특수교육연구 | 17 | 1 | 2010 | 특수교육

Alphabetic Principle and Phonological Awareness for Korean Adult EFL Learners as Beginners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Alphabetic Principle and Phonological Awareness for Korean Adult EFL Learners as Beginners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학령전기 유아의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 낱자지식, 자소-음소 대응지식, 연령과 작업기억과의 관련성 탐색 -

A Study on a Phonological Awareness of Preschoolersin South Korea: Exploring the Effects of Letter Knowledge, Letter-sound Correspondence, Ages, and Working Memory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언어치료연구 | 21 | 3 | 2012 | 교육학

취학전 및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5- to 8-year-old Children

초등교육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취학전 및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5- to 8-year-old Children

초등교육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음운 인식 특성 연구: 음운 인식 단위,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 효과를 중심으로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in Korea: Effects of Phonological Units, Tasks, Syllable or Phoneme Position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in Young Children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3 | 2011 | 교육학

4세~7세 유아의 음운인식능력발달 특성에 대한 대(규모) 집단 연구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Children Aged between 4-7 throughout Korea

언어치료연구 | 20 | 3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