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급효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321

STNet ID : 1003848

한자 : 遡及效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진정소급효 [ 眞正遡及效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진정소급효 [ 不眞正遡及效 ]

R1:개념적

RT (관련어)

관련제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재판시법 주의 [ 裁判時法主義 ]

RT (관련어)

대응

 

추급효 [ 追及效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합의해제 [ 合意解除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순 위헌 [ 單純違憲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해제 [ 解除 ]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 최근 입법논의와 관련하여 -

Interim Remedies in Constitutional Trials - in relation to reviewing the recently proposed draft legislations -

사법 | 1 | 13 | 2010 | 법정책학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 최근 입법논의와 관련하여 -

Interim Remedies in Constitutional Trials - in relation to reviewing the recently proposed draft legislations -

사법 | 1 | 13 | 2010 | 법정책학

점유시효취득의 소급효란?

What is the retroactivity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of Real Property?

성균관법학 | 23 | 2 | 2011 | 법학

대항요건을 갖춘 지명채권양도 효력의 소급성과 유동적무효론 - 대상판결 :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29279 판결 -

Retroaction of Effect in Assignment of nominated Claim with Notification or Acceptance

법조 | 60 | 11 | 2011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과 그에 대한 국회 및 법원의 반응 - 2006년 6월 이후의 위헌법률심판(“헌가” 및 “헌바”)사건을 중심으로 -

Die Reaktion von Parlament und Gerichten auf die Unvereinbarerklärung des Verfassungsgerichts

헌법학연구 | 17 | 4 | 2011 | 헌법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공소시효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rable Amendment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Creating a Social Security

한국민간경비학회보 | 18 | 2011 | 경찰행정

위헌결정 형벌규정의 소급효

Rückwirkung der für verfassungswidrig entschiedenen Strafbestimmung

형사판례연구 | 20 | 2012 | 형사정책

형벌에 관한 법률이나 법률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시점

Rückwirkungszeitpunkt der Verfassungswidrigerklärung über das Gesetz oder die Bestimmung des Gesetzes in Bezug auf kriminelle Strafen

인권과 정의 | 425 | 2012 | 법학

형벌조항에 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retroactive effect of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about the criminal clause

세계헌법연구 | 17 | 2 | 2011 | 법학

소급입법의 구분과 새로운 소급효 개념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검토하며 ―

Die Unterscheidung der Rückwirkung von Gesetzen und ein neuer Rückwirkungsbegriff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위치추적 전자감시의 소급효

The Gender Cognitive & Alternative Methodology of Jurisprudence: a Feminist Jurisprudence

법학연구 | 19 | 2 | 2011 | 기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