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학습 부진

연구분야 : B121206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수학교육학

클래스 : 신체(장애/질병)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629

STNet ID : 1004079

한자 : 數學學習不振

a01-08-03 신체(장애/질병)

증상_t1

수학학습 곤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학습 부진 [ 學習不振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1-07 감각 감각

수 감각 () [ 數感覺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수학 학습장애 () [ 數學學習障碍 ]

resultsIn (산물/결과)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수학 학습 부진아 [ 數學學習不振兒 ]

R2:기능적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중재반응모형 [ 仲裁反應模型 ]

또래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derachieve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with Peers on their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Self-efficiency

학습장애연구 | 8 | 1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수학저성취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측정’영역에서의 특성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n measurement Characteristic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Mathematics Difficulti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4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맞춤형 학업향상 관리 프로그램’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an adaptive management program for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of low achieving students

교육과학연구 | 43 | 2 | 2012 | 교육학

수학학습장애 진단 및 수학학습부진 중재를 위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의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School-base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S-RTI) Model for Diagnosis of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Math Under-achievement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3 | 1 | 2012 | 교육학

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아동과 수학학습부진아동의 수감각과 작업기억 비교

A Comparison on the Characteristics of Numerical Sense and Working Memory between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Math Slow Learners of Elementary School

특수교육학연구 | 45 | 4 | 2011 | 교육학

수학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읽기능력과 작업기억 특성 비교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 Mathematic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3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