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반응모형

연구분야 : B121109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특수교육

클래스 :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038

STNet ID : 1004393

한자 : 仲裁反應模型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중재반응모델 [Response to Intervention]

R1:개념적

RT (관련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읽기 중재 () [ --仲裁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증거 기반 실제 () [ 證據基盤實際 ]

RT (관련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교육과정중심 평가 () [ 敎育課程中心評價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성장 모형 [ 成長模型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불일치 평가 모형 [ 不一致評價模型 ]

RT (관련어)

 

 

교과과정 중심측정

R2:기능적

analyzes (분석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학습 장애 진단 () [ 學習障碍診斷 ]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읽기 장애 [ --障碍 ]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학습 장애 [ 學習障碍 ]

isMeasurementOf (측정 방법/수단)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수학 학습 부진 [ 數學學習不振 ]

교육과정중심측정에 의한 연산능력과 수학 학업성취간 상관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bility of Calculation o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2 | 2010 | 교육학

교육과정중심측정에 의한 연산능력과 수학 학업성취간 상관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bility of Calculation o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2 | 2010 | 교육학

한국과 미국의 학습장애 현황 비교를 통해 본 한국형 중재반응모델 제언

Suggestions for Korean RTI Model by Comparing Learning Disabilities Related Issues in the United Stat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3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읽기중재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Reading Intervention for Evidence-Based Practice in RTI

학습장애연구 | 7 | 2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읽기중재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Reading Intervention for Evidence-Based Practice in RTI

학습장애연구 | 7 | 2 | 2010 | 교육학

측정시간 차이에 따른 수학 CBM 검사 결과의 비교: 학습장애 선별 모형인 중재반응모형에서의 활용을 위하여

Comparing Math CBM Scores with Different Time Administrations: An Application of Response to Intervention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

수학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진전도 기울기의 대안적 산출 방안 연구

An Alternative Way of Calculating Growth Rate in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Math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특수교육학연구 | 45 | 3 | 2010 | 교육학

수학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진전도 기울기의 대안적 산출 방안 연구

An Alternative Way of Calculating Growth Rate in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Math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특수교육학연구 | 45 | 3 | 2010 | 교육학

증거기반교수의 개념과 연구적 타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Review about Concepts and Research-valid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1 | 2011 | 교육학

증거기반 특수교육 실제에서 평가 조정의 의의와 원칙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accommodations in the evidence-based special education practices

학습장애연구 | 7 | 2 | 2010 | 교육학

증거기반 특수교육 실제에서 평가 조정의 의의와 원칙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accommodations in the evidence-based special education practices

학습장애연구 | 7 | 2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읽기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Classifying Multiple Subgroups of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within An RTI Framwork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1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for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for Math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2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 간의 기울기 타당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Validating the Growth Rat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Fluency within an Response to Intervention: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 간의 기울기 타당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Validating the Growth Rat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and Fluency within an Response to Intervention: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연산장애 출현율 조사 방안 탐색

Estimating Prevalence of Math Disabilities with an Response to Intervention Framework

학습장애연구 | 7 | 3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연산장애 출현율 조사 방안 탐색

Estimating Prevalence of Math Disabilities with an Response to Intervention Framework

학습장애연구 | 7 | 3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용 학습장애 자가진단 선별척도 타당화

Validation of the「Screening checklis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아시아교육연구 | 13 | 1 | 2012 | 교육학

학습장애와 뇌 기반 교육: 뇌 영상기법을 활용한 읽기 중재 효과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Brain-based education and learning disabilities: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on effects of reading intervention

교육심리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특수교육학연구 | 44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특수교육학연구 | 44 | 4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비장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비교

A Comparison of Academic Self-Efficacy in First Graders without Disabilities and Graders Who Are at Risk for Mathematics

특수교육학연구 | 46 | 4 | 2012 | 교육학

수학 기술 중재 효과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뇌 영상기법을 중심으로

Trends and perspectives in studies on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o mathematical skills: Using neuroimaging techniques

교육심리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수학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웹기반 중재반응모델 진단ㆍ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Web Based Response to Intervention Diagnosis-Evaluation Model for Diagnosing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3 | 2011 | 교육학

수학 학습곤란 아동의 연산능력 향상과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선별을 위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School Based Response to Intervention(RTI) Model for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m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1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for Response-To-Intervention(RTI) Implementatio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for Response-To-Intervention(RTI) Implementatio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학습장애 위험이 있는 유아(幼兒)의 조기진단 및 중재 방안 탐색을 위한 시안 - 중재반응모형을 중심으로 -

An Early Intervening System for Young Children-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

교육종합연구 | 10 | 3 | 2012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수학 CBM 검사의 신뢰도 및 예측 타당도 검사

Examining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CBM Math for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s

학습장애연구 | 9 | 1 | 2012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중재반응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Effect of Response-to-Interven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에 의한 수학학습장애학생의 선별 과정

Screening of Children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by Response to Intervention

특수교육연구 | 17 | 2 | 2010 | 특수교육

중재반응모형에 의한 수학학습장애학생의 선별 과정

Screening of Children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by Response to Intervention

특수교육연구 | 17 | 2 | 2010 | 특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