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부진

연구분야 : B121109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특수교육

클래스 : 신체(장애/질병)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832

STNet ID : 1001608

한자 : 學習不振
영어 : learning underachivement

a01-08-03 신체(장애/질병)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수학 학습 부진 [ 數學學習不振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지도 실태 [ 指導 實態 ]

isCausedBy (원인)

 

e02-02 패턴 패턴

학습 습관 () [ 學習習慣 ]

isCausedBy (원인)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학습 동기 () [ 學習動機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학교부적응 학생 () [ 學校不適應學生 ]

resultsIn (산물/결과)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학습부진학생 [ 學習不振學生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기초학력 미달 [ 基礎學力 未達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학습 장애 위험군 학생 [ 學習障礙危險群學生 ]

초등학교 철자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특성 비교 연구

Spelling Skills of Students with or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in Korea: Focusing on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철자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특성 비교 연구

Spelling Skills of Students with or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in Korea: Focusing on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특수교육학연구 | 45 | 1 | 2010 | 교육학

A Mixed-Method Analysis of Scaffolding Patterns of High-, Average-, and Low-Achieving Students when Solving Complex Math Problems in Multimedia Environment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스캐폴딩 패턴에 관한 질적 연구 : 우수, 평균,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3 | 2011 | 교육학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습 어휘 조사 연구

A Study on Learning Lexicon of Multi-Cultural Household Elementary School Childre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력향상 중점학교 유형별 비교

School and Student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1 | 2011 | 교육학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아개념 향상과 학교적응을 위한 강점발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Development of a Strengths Discovery Program for The Underachievers in Middle School

중등교육연구 | 60 | 3 | 2012 | 교육학

학력향상 다중 지원체제 구축 실태 및 개선방안

Current state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establishing a multi-diciplinary supporting system for the underachieved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4 | 2011 | 교육학

학습부진학생 유형화 탐색 : 학습동기와 자기통제성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Types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중등교육연구 | 60 | 1 | 2012 | 교육학

읽기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코칭 방향

The Coaching Method of Reading for Underachievers

청람어문교육 | 43 | 2011 | 국어교육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과학교수에 관한 문헌분석

Scienc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 Research Synthesi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1 | 2010 | 교육학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과학교수에 관한 문헌분석

Scienc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 Research Synthesi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1 | 2010 | 교육학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교수․학습에 관한 일반 초등교사의 인식

Perception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w-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

집중력이 부족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발달 분석연구

The trajectory of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학습장애연구 | 8 | 1 | 2011 | 교육학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들의 사회과 지식 향상을 위한 중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for Improving Knowledg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r Difficulties in Social Studi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3 | 2 | 2012 | 교육학

초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Variable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교육심리연구 | 26 | 2 | 2012 | 교육학

학습부진학생의 부모관련 변인 및 개인의 심리적 변인이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xploration of the Parental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Underachievers' Self-handicapping Strategies

중등교육연구 | 59 | 1 | 2011 | 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학생 및 학교수준의 결정요인 탐색

The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of underachievement to elementary students

교육평가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학생 및 학교수준의 결정요인 탐색

The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of underachievement to elementary students

교육평가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nation motiva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and general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4 | 2011 | 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습부진 특성 진단검사 문항개발 및 활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iagnostic Questionnaire Assessing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아시아교육연구 | 12 | 4 | 2011 | 교육학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A Study on the literacy of underachiever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맞춤형 학업향상 관리 프로그램’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an adaptive management program for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of low achieving students

교육과학연구 | 43 | 2 | 2012 | 교육학

초등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전환의 유형적 특성 - 5학년 1학기 공간영역을 사례로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Change Proces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 A Case of Geography Domain in Fifth Grad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1 | 2010 | 지리학

초등사회과 학습부진아들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전환의 유형적 특성 - 5학년 1학기 공간영역을 사례로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Change Proces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derachievers - A Case of Geography Domain in Fifth Grad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1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