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교육과정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사회제도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271

STNet ID : 1001093

한자 : 水準別敎育課程
영어 : differentiated curriculum

d02-01 사회제도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N1:종류

hasKind (종류)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수준별 수업 [ 水準別受業 ]

hasKind (종류)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hasKind (종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hasKind (종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무학년제 [ 無學年制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개인차 [ 個人差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제7차 교육과정 (고시 제1997-15호) [ 第七次敎育課程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수준별 교육 [ 水準別敎育 ]

수준별 교육과정(이동수업) 운영의 효과성 탐색 : 다층자료 분석모형 이용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chievement

아시아교육연구 | 12 | 2 | 2011 | 교육학

영어·수학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 평가 방안

Research on the Assessment System for Math and English Ability-Grouping Classes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영어·수학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 평가 방안

Research on the Assessment System for Math and English Ability-Grouping Classes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2 | 2010 | 교육학

한국어 교육과정에서의 수준별 수업 운영 방안 연구

Remedial Suggestion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the Korean Educational Classroom as a Foreign language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