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수업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교수/학습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532

STNet ID : 1002539

한자 : 水準別受業
영어 : differentiated education

d04-03 교수/학습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수준별 교육 [ 水準別敎育 ]

S:동의

UF (비우선어)

 

 

수준별 이동수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수준별 교육과정 () [ 水準別敎育課程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수업 [ 授業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 二○○七改正國語科敎育課程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 () [ 英語--進行--英語授業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학습부진학생 [ 學習不振學生 ]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을 위한 5분 테스트 활용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that five-minute tests influence low level students' mprovement of their assessment in mathematic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4 | 4 | 2011 | 교육학

개방형 문제를 통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for Improving Mathematics Instruction Through Open Problems in The Elementary School

교육종합연구 | 10 | 3 | 2012 | 교육학

학업성취도 부가가치에 대한 학교효과 분석

School effects on value-added achievement scores

교육학연구 | 49 | 4 | 2011 | 교육학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준별 수업에 적용한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CRESST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to the 7th Grade Level-Differentiated Math Classes

수학교육 논문집 | 25 | 2 | 2011 | 수학교육학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The realitie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eaching methods, TEE, native English teachers, and differentiated classes

영어교과교육 | 9 | 3 | 2010 | 영어교육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The realitie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eaching methods, TEE, native English teachers, and differentiated classes

영어교과교육 | 9 | 3 | 2010 | 영어교육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Ability Group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능력별 집단편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Ability Group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중학교 수준별 TEE 수업에서 수업활동과 교사발화의 차이

응용언어학 | 27 | 1 | 2011 | 언어학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보충수업의 효과

Effects of Low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Overcoming Underachievement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보충수업의 효과

Effects of Low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Overcoming Underachievement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수준별 하반 편성과 특별보충수업이 중학교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끼치는 영향

Effects of Low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Underachievers

한국교육학연구 | 17 | 2 | 2011 | 교육학

대학교 교양일본어의 수준별 수업에 관한 연구 -학습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veled university Japanese classes -Focusing on research for learners' recognition-

일어일문학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중학교 영어과 수준별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vel-based English instructions in middle school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현대영어교육 | 13 | 2 | 2012 | 영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