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부흥론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8945

한자 : 時調復興論
영어 : Revival of Sijo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국민문학론 [ 國民文學論 ]

시조사의 편성 과정과 최남선의 시가 인식

Formation Process of Sijo History and Recognition of Choi Nam Seon on Classical Poet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백팔번뇌>에 나타난 조선적인 것의 의미

The Meaning of Joseon Found in Baek-pal-beon-noe by Choi, Nam-seon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16세기 <어부가>와 <오륜가>,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in Oryunga(오륜가) and Eobuga(어부가)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 i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