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연구분야 :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34

STNet ID : 9005511

한자 : 敎育學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사회 과학 () [ 社會科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경제 교육학 [ 經濟敎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초등 교육학 [ 初等敎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특수교육학 () [ 特殊敎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리 교육학 [ 敎理敎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경영학 [ 敎育經營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인류학 [ 敎育人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경제학 [ 敎育經濟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법학 [ 敎育法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행정학 [ 敎育行政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심리학 [ 敎育心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사회학 [ 敎育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철학 [ 敎育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과정학 () [ 敎育課程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비교 교육학 [ 比較敎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과정 사회학 () [ 敎育課程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과 교육학 [ 敎科敎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사학 [ 敎育史學 ]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 - 그림 인간학, 그림적 지식 그리고 교육학 -

Pädagogische Bedeutung der ikonischen Wende - Anthropologie des Bildes, Bildliches Wissen und Pädagogik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3 | 2010 | 교육철학/사상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 - 그림 인간학, 그림적 지식 그리고 교육학 -

Pädagogische Bedeutung der ikonischen Wende - Anthropologie des Bildes, Bildliches Wissen und Pädagogik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3 | 2010 | 교육철학/사상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of education based on citation analysis

교육학연구 | 49 | 3 | 2011 | 교육학

역사드라마의 ‘한류’ 현상에 따른 교육학적 고찰 -드라마 <성균관스캔들>을 중심으로-

An Educational Contemplation Following ‘Korean Wave” of the Historical Dramas -With at its Center-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교육학

Phenomenological Pedagogy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학

Phenomenological Pedagogy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근대 계몽기 교육학과 어문 교육

Pedagogy and Language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평가와 진단: 교과과정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재학생 인식의 계량적 연구를 통하여

Discuss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Survey Research of Learners' Assessment of Program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중국어문학지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평가와 진단: 교과과정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재학생 인식의 계량적 연구를 통하여

Discuss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Survey Research of Learners' Assessment of Program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중국어문학지 |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