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uss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uss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사회과 정치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연구
A study on ‘Politicsp’ curricular changes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 |
50 |
3 |
2011 |
교육학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의 다문화교육적 대안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Alternative to Design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e School for the Deaf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의 다문화교육적 대안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Alternative to Design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e School for the Deaf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4 |
2010 |
교육학
사회과 교사 전문성 형성을 위한 후향적 사회과 평가
Backward Design of Social Studies Assessment for the Enhancement of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tise
사회과교육연구 |
19 |
1 |
2012 |
사회교육학
초등 사회교과에서의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tent-Surveying Training on Motivation,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교육방법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초등 사회교과에서의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tent-Surveying Training on Motivation,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교육방법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교수․학습에 관한 일반 초등교사의 인식
Perception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w-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
우리 마을 지도 만들기 활동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지역사회 이동에 미치는 영향
Case Study of Teaching to improve the Community Mo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특수교육연구 |
18 |
1 |
2011 |
특수교육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사회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사회과교육연구 |
18 |
1 |
2011 |
사회교육학
일본 시마네현의 초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독도에 대한 지역학습의 경향
Trends in Regional Studies Education on Dokdo in Social Studies Classe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himane Prefecture, Japa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5 |
2011 |
지리학
도덕과와 사회과의 통합적 운영이 어려운 까닭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ies of Integrating Application of Moral Subject and Social Studies Subject
초등도덕교육 |
33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과와 사회과의 통합적 운영이 어려운 까닭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ies of Integrating Application of Moral Subject and Social Studies Subject
초등도덕교육 |
|
33 |
2010 |
윤리교육학
청소년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 사회과 교과서의 대중 매체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Study on the Mass Media-Related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교육연구 |
53 |
2012 |
교과교육학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의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y the Analysis of Social Subject's Multicultu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1 |
2010 |
교육학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의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y the Analysis of Social Subject's Multicultu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
3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 적용을 위한 Goal-Based Scenario 교수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Goal-Based Scenario(GBS) Instruction Model for adopting the Elementary's Social Studie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 적용을 위한 Goal-Based Scenario 교수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Goal-Based Scenario(GBS) Instruction Model for adopting the Elementary's Social Studie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사회과와 도덕과의 교육과정 내용 중복성에 대한 분석과 대응
Analysis and Resolution of Contents Redundancy between the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Curriculums
시민교육연구 |
43 |
1 |
2011 |
교육학
사회과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rel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한국초등교육 |
20 |
2 |
2010 |
기타교육학
사회과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rel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한국초등교육 |
20 |
2 |
2010 |
기타교육학
교생의 수업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과 인식 연구
A Study on Student Teachers?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
사회과교육 |
50 |
1 |
2011 |
교육학
글로벌 시대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The Changing Directions of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bal Age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글로벌 시대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The Changing Directions of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bal Age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2009 교육과정의 맥락적 의의와 실현의 조건: 사회과의 시각에서
Contextual Meanings of the 2009 Korea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Conditions of Successful Realization in Classrooms: Based on the Case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3 |
2010 |
교과교육학
2009 교육과정의 맥락적 의의와 실현의 조건: 사회과의 시각에서
Contextual Meanings of the 2009 Korea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Conditions of Successful Realization in Classrooms: Based on the Case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3 |
2010 |
교과교육학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따른 사회과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 변화
The Effects of Highschool Selection on the Achievement and Interest on Social Studies
시민교육연구 |
42 |
4 |
2010 |
교육학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따른 사회과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 변화
The Effects of Highschool Selection on the Achievement and Interest on Social Studies
시민교육연구 |
42 |
4 |
2010 |
교육학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사회과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신장 : 법과 인권교육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Role and the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of Social Studies Teacher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법과인권교육연구 |
5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제 2차 세계대전과 사회과교육의 위상 변화
A Study on the impact of World War II o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 |
51 |
2 |
2012 |
교육학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교육과정 대강화에 따른 교과서 다양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Social Studies Textbooks : Focused on Diversity Between Textbooks
시민교육연구 |
42 |
3 |
2010 |
교육학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교육과정 대강화에 따른 교과서 다양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Social Studies Textbooks : Focused on Diversity Between Textbooks
시민교육연구 |
42 |
3 |
2010 |
교육학
초등 예비교사와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Student Teachers and Novice Teachers?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초등 예비교사와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Student Teachers and Novice Teachers?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사회과 학습자료로써 신문의 효과적인 재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Reorganization of Newspapers as a Learning Material in the Social Studies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사회과 학습자료로써 신문의 효과적인 재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Reorganization of Newspapers as a Learning Material in the Social Studies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 2007 개정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Reflective Study on the Revision Discussions and Resul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 Focused on the 2007 Revision General Social Studies Curriculum -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결과에 대한 반성 - 2007 개정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Reflective Study on the Revision Discussions and Resul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 Focused on the 2007 Revision General Social Studies Curriculum -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사회과 수업분석 방법으로서 HAL틀의 시안적 검토
An Examination of HAL Framework of Analysis for Social Studies Class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사회과 수업분석 방법으로서 HAL틀의 시안적 검토
An Examination of HAL Framework of Analysis for Social Studies Class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접근 논리 -‘생산’과 ‘소비’관점의 조화 -
Alternative Approach to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Harmon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Viewpoint-
사회과교육연구 |
18 |
2 |
2011 |
사회교육학
한국 사회과 질적 연구의 유형과 특징: 2001-2011
Patterns and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사회과교육 |
50 |
4 |
2011 |
교육학
초등학생의 사회과 주관적 학업성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
What Affects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subjectively perceive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시민교육연구 |
42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의 사회과 주관적 학업성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
What Affects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subjectively perceive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시민교육연구 |
42 |
1 |
2010 |
교육학
패전 직후 일본의 역사교육 쟁점과 대안 모색
Controversial Issues in History Education aftermath World War II in Japan and Activities for Seeking Alternatives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패전 직후 일본의 역사교육 쟁점과 대안 모색
Controversial Issues in History Education aftermath World War II in Japan and Activities for Seeking Alternatives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사회과에서 다문화주의의 수용과 한계
The Acceptabilities and Limits of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사회과에서 다문화주의의 수용과 한계
The Acceptabilities and Limits of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