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발달

연구분야 : H060600 복합학 > 인지과학 > 인지발달및병리

클래스 : 강화(증가/확장/신장)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95

STNet ID : 1000745

한자 : 認知發達
영어 : cognitive development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발육 발달 [ 發育發達 ]

N1:종류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회적 구성주의 () [ 社會的構成主義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인지 수준 [ 認知水準 ]

hasPhenomenon (현상)

 

x02-02 기간 기간

감각 동작기 [ 感覺動作期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인지력 [ 認知力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특별 활동 운영 [ 特別活動運營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유아 동작 교육 [ 幼兒動作敎育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인지 기능 () [ 認知機能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인지 장애 () [ 認知障碍 ]

RT (관련어)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 발달 [ 言語發達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인지 조절 [ 認知調節 ]

RT_X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개념적 사고 () [ 槪念的思考 ]

R2:기능적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인지 과정 검사 [ 認知過程檢査 ]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도구 () [ 言語認知社會情緖發達評價道具 ]

소셜 미디어 활용의 두가지 얼굴: 교육적 도구로서의 확장성과 마비성에 대한 고찰

Two Faces of Utilizing Social Media : Exploration on Extensive and Paralytic Aspects as Educational Tool

평생학습사회 | 8 | 2 | 2012 | 교육학

뇌성마비 아동의 무선센스를 이용한 집중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임상미술치료 방안 - 활동 피드백을 기반으로 -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for Concentr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Based on Action Feedback-

조형교육 | 41 | 2011 | 미술교육

인권판단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An Essay on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for Judgement of Human Rights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인권판단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An Essay on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for Judgement of Human Rights

사회과교육 | 49 | 1 | 2010 | 교육학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 일반성 대 특수성 쟁점과 교육맥락 변인과의 관련성

The Domain Generality versus Specific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Relations with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교육심리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ono-Korean families in rural areas

유아교육연구 | 32 | 4 | 2012 | 교육학

발달단계를 고려한 총체적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장애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Wholistic Language Teaching based on Developmental States to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 55 | 3 | 2012 | 교육학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Communicative Abilities and Motor,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Language Delay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1 | 2011 | 교육학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관련 변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variables concerning infa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유아교육연구 | 32 | 4 | 2012 | 교육학

도덕적 창의성에 관한 인지 모델 접근의 배경에 관한 조명

Backgrounds of Cognitive Model Approach on Moral Creativity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Cognitive Development of Brand as a Heuristic

소비자 휴리스틱을 통한 인지적 발달 관점에서의 브랜드

아시아마케팅저널 | 13 | 3 | 2011 | 경영학

협동학습 소집단 활동의 효과와 한계: 사회과 수업비평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a critique of social studies classes

사회과교육 | 50 | 4 | 2011 | 교육학

아동 인지 발달에 따른 색채 교육 내용 실태 - 색채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

The Contents of Color Education According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 Focused on The Softwares of Color Educatio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4 | 2011 | 디자인

기초생활보장 가정 아동의 인지발달 예측모형 -의사결정 나무분석의 적용-

A Forecast Model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in Receipt of Public Assistance-Using Answer Tree Analysis-

인간발달연구 | 17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기초생활보장 가정 아동의 인지발달 예측모형 -의사결정 나무분석의 적용-

A Forecast Model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in Receipt of Public Assistance-Using Answer Tree Analysis-

인간발달연구 | 17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새로운 합리주의적 인지 변화 모델의 특징과 초등 사회과 교육적 함의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of the New Rationalistic Model of Cognitive Change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1 | 2011 | 교과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