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 효과

연구분야 : B050602 사회과학 > 경영학 > 판매관리/마케팅 > 국제마케팅

클래스 : 경제/경영/무역
효과/영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059

STNet ID : 1001675

한자 : 原産地效果

c03-04 경제/경영/무역

결과_t

원산지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보다 강하게 영향을 미침.

x03-05-03 효과/영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원산 지역 효과 [ 原産地域效果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5-02 결과 결과

효과 [ 效果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제품 평가 [ 製品評價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원산지 이미지 [Country-of-Origin Image]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소비자 자민족 중심주의 () [ 消費者自民族中心主義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제품특성 [ 製品特性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원산지 표시 제도 [ 原産地表示制度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원산지 [ 原産地 ]

국가에 대한 우발적 감정이 원산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감정의 사회기능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The Role of Incidental Emotions toward a Nation in the Country of Origin Effect-Focusing on Socio-Functional Perspective

소비자학연구 | 23 | 1 | 2012 | 경제학

문화컨텐츠 호감도 및 경험도가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Attitudes towards Cultural Cont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Role of Country Image and Product Image-

글로벌경영학회지 | 8 | 4 | 2011 | 경영교육

일본·중국산 제품의 원산지 평가와 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and the Country-of-Origin Estimation of Japan and China of Korea Consumer

관세학회지 | 12 | 1 | 2011 | 무역학

베트남의 국가이미지에 따른 원산지 효과와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Country-of-Origin Effect for Vietnam's Country Image

통상정보연구 | 14 | 1 | 2012 | 무역학

한류경험의 유형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및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Hanryu on Korean Nation Brand Image, on the Perception of Corporations and Products/Services

광고연구 | 87 | 2010 | 광고/홍보학

한류경험의 유형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및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Hanryu on Korean Nation Brand Image, on the Perception of Corporations and Products/Services

광고연구 | | 87 | 2010 | 광고/홍보학

미디어 이용이 소비자 위험지각과 일본산 제품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Media Consumption on Risk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ade in-Japan Products

광고학연구 | 23 | 1 | 2012 | 신문방송학

대학생의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 성향과 원산지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Ethnocentrism and Country-of-Origin Effect: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Korea

청소년학연구 | 18 | 7 | 2011 | 기타사회과학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Image of Korea in the Chinese Market

한국광고홍보학보 | 12 | 3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Image of Korea in the Chinese Market

한국광고홍보학보 | 12 | 3 | 2010 | 신문방송학

브랜드 글로벌성 vs. 원산지 이미지 - 글로벌 브랜드는 원산지 효과에서 자유로운가?

Brand Globalness vs. Country Image - Are Global Brands Immune from Country-of-origin Effects?

국제경영연구 | 22 | 4 | 2011 | 경영학

제조 원산지와 브랜드 원산지가 소비자의 품질 인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untry of Manufacture and Country of Brand on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마케팅연구 | 25 | 2 | 2010 | 경영학

The Use of Country of Origin Stereotypes: The Role of Product Specificity and Consumer Motivation

원산지 평가성향의 활용: 제품특성과 소비자 동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아시아마케팅저널 | 13 | 4 | 2012 | 경영학

The Moderation of Consumer Ethnocentrism in the Country-of-origin Phenomenon

원산지 효과에서의 자민족 중심성향의 조절역할에 관하여

광고연구 | 87 | 2010 | 광고/홍보학

The Moderation of Consumer Ethnocentrism in the Country-of-origin Phenomenon

원산지 효과에서의 자민족 중심성향의 조절역할에 관하여

광고연구 | | 87 | 2010 | 광고/홍보학

Is High Situational Involvement Always Resistant to the Utilization of Country of Origin Cues? : Joint Influence of Situational Involvement and Product Knowledge

고상황적 관여도가 원산지 단서의 사용에 항상 저항하는가? : 상황적 관여도와 제품지식의 통합효과

한국광고홍보학보 | 13 | 2 | 2011 | 신문방송학